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꾸러미
소낭
팩키
패키지
소포엽
소하물
짐짝
뉴스
"
소포
"(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와 함께 하는 메리크리스마스
과학동아
l
2016.12.25
세포 안에서 오토파지가 일어나는 모습으로, 위의 동그란 구조물이 자가
소포
체다. 자가
소포
체의 막과 액포(막으로 둘러싸인 소기관)의 막이 연결되면서 두 구조물이 하나로 합쳐지고 있다. 효모에서는 액포가 라이소좀의 역할을 한다. David Goodsell 제공 마치 크리스마스의 꽃, 포인세티아를 ... ...
[제13회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무궁화를 확대하면 바이러스가 있다?
과학동아
l
2016.12.19
70배 확대했다. 가운데에 뻥 뚫린 공간이 있고 주변에 작은 공간이 있는 모습이 핵과
소포
체를 소기관으로 지닌 세포의 모습을 닮았다. 수술대에 붙은 꽃가루는 공교롭게도 표면에 단백질이 규칙적인 모양으로 배열돼 있는 바이러스와 닮았다. 그 바이러스가 세포를 침투하고 있다. ※ 편집자 주 ... ...
(영상) [2016 노벨 생리의학상] 세포 속 청소부, 오토파지
과학동아
l
2016.12.10
서로를 빨아들이듯이 하나가 됩니다. 라이소좀에 가득 들어있는 가수분해효소는 자가
소포
체가 가지고 있던 부산물을 잘게 부숩니다. 이런 현상은 스스로 먹는다는 뜻의 오토파지라고 부릅니다. 과학자들은 이런 세포 속 청소부가 없다면 나쁜 단백질과 병균이 쌓여서 치매나 암 같은 심각한 ... ...
[2016 노벨 생리의학상] 日과학자의 자가포식 메커니즘 발견
2016.10.03
시간이 지나지 않아 액포 안에 분해되지 않은 수 많은
소포
가 가득찼다(그림2 참고). 이
소포
는 모두 자가포식소체였다. 오스미의 실험은 자가분해가 효모에서도 존재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오스미가 자가분해를 관장하는 유전자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처음으로 고안해냈다는 ... ...
[미토콘드리아의 비밀]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
과학동아
l
2016.07.03
그룹을 발견했는데, 이들은 미토콘드리아 DNA가 들어오기 이전에 세포에 들어와 골지체와
소포
체 등 세포 내막의 형성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토콘드리아와 관련된 에너지 생성 유전자는 진핵세포의 외부 유전자 중 가장 늦게 들어온 축이었다. 시간순서로 볼 때 미토콘드리아가 진핵세포에 ... ...
세포 속 ‘발전소’에서 신경암 해법 찾았다
2016.04.27
Polo Kinase)에 의해 인산화된 미로(Miro)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와 다른 세포 소기관인
소포
체 간 결합을 증가시켜 미토콘드리아 내 칼슘 유입양을 늘린다. 그 결과 신경줄기세포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든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만성 간 질환 악화시키는 원인 찾았다
2015.11.03
스트레스에 의해 간 질환이 악화되는 과정. - 서울대 제공 연구팀은 두 연구 결과를 통해
소포
체 스트레스가 어떻게 간 질환을 악화시키는지 밝히는 데 성공했다. 김 교수는 “서로 상반된 두 연구 결과를 통해 세포에서 특정 단백질을 조절하면 간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 ...
노벨상 받았던 ‘
소포
체’ 형성원리,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2015.08.26
전영수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 소기관인 ‘
소포
체’가 형성되는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규명했다. ... 아틀라스틴 단백질이 관 모양의
소포
체들을 연결 위치에 끌어다 놓으면 스네어 단백질이
소포
체를 연결시킨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때문이다. 실제 효모에서도
소포
체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원핵생물인 대장균은
소포
체가 없다. 당시 생산성은 배양액 1리터에 아르테미신산 115mg으로 꽤 높은 편이었지만 아직 경쟁력은 없는 상태였다. 그러나 그 뒤 미국의 바이오벤처인 아미리스바이오테크놀로지스에서 생산성을 ... ...
30년 만에 풀린 ‘철사 단백질’ 의 비밀
2015.03.27
침투한다. 이때
소포
막과 세포막을 합치는 역할은 ‘스네어’라는 단백질이 담당한다.
소포
에 있는 스네어와 세포막에 있는 스네어가 마치 철사처럼 꼬여 단단히 묶인다. 이 과정을 밝혀낸 미국과 독일 연구자 3명은 201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스네어(SNARE) 단백질이 풀어지는 모습. -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