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꾸러미
소낭
팩키
패키지
소포엽
소하물
짐짝
뉴스
"
소포
"(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체액만으로도 암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펑셔널 머티리얼즈’ 지난달 27일자에 발표됐다. 암세포가 커질수록 혈액 내 나노
소포
체 수가 증가함을 보여주는 모식도. (d) 혈소판 칩을 활용한 전립선 암 환자 (PC) 및 건강한 대조군 (HC) 유래 혈장 샘플의 플라즈모닉 반응 비교했다. IBS 제공 ... ...
장내 미생물이 뱉는 '포스트바이오틱스'에 주목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식물이 뿌리를 내어 토양으로부터 영양분을 얻듯이, 장에서 미생물이 내는 나노
소포
를 통해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는 뜻이다. 이날 전문가들은 "체내에서 전체 면역세포의 70%는 장에 있다"며 "장내 미생물이 어떤 산물을 내놓고 어떤 대사를 거치는지 알면 인체 건강과 질환에 대한 비밀도 하나씩 ... ...
세포 분비 물질로 심근경색 치료…세포 치료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집중 개발하고 있다. 엑소좀은 세포가 분비하는 50~150nm(1nm는 10억분의 1m)의 작은
소포
체다. 세포가 가지고 있는 단백질과 RNA를 포함하고 있어 세포의 성질과 상태를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 엑소좀은 과거 물질대사 후 찌꺼기를 내보내는 현상으로만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최근 세포가 엑소좀을 ... ...
암세포 '신분증' 바꿔치기 해 암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엔도테린 수용체 A와 결합하면, ①엑소좀 생성 관련 인자가 감소하면서 ②다
소포
엔도좀과(MVE)와 라이소좀의 융합이 증가한다. 또 ③엑소좀 생성량이 줄어든다. ④ 결국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양이 줄어든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 ...
인슐린 저항성 개선한 새 당뇨 치료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기능 부전과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했다. 실제로 PDK4가 결핍된 생쥐에서 미토콘드리아와
소포
체의 상호작용이 억제되어 근육의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기도 했다. 연구진은 “기존 당뇨병 치료제는 대부분 대증적 요법에 그치는데 반해, PDK4 억제제는 인슐린 저항성과 당뇨병의 근본 원인을 치료할 ... ...
'우편배달원 따라다니는 우편로봇'…독일서 시험 중
2018.11.21
제공 독일의 최대 우편·배송 업체인 도이체포스트가 우편 및
소포
배달에 사용하는 로봇을 개발해 시험 중이라고 dpa 통신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포스트봇'이라고 불리는 우편배달 로봇은 바퀴가 4개이고 높이는 1.5m다. 우편 배달원 다리 동작을 인식해 따라다니고, 최대 150㎏의 물체를 ... ...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공통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을 앓는 초파리의 경우
소포
체와 미토콘드리아의 접촉면이 정상 개체보다 늘어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의 확인 결과, 미토콘드리아로 과도한 칼슘이 흡수돼 신경세포의 사멸이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 ...
고혈압·뇌질환 치료 효과 높이는 ‘칼슘채널’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칼슘의 이동경로를 눈으로 살펴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칼슘을 미토콘드리아나
소포
체 등 세포 속 작은 소기관으로 모아 한꺼번에 움직이도록 만들었다. 그 다음 세포 속에 크기 1㎛(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 정도 크기의 극도로 작은 미세전극을 넣어 전류의 흐름에 따라 칼슘의 ... ...
인공망막 품질 평가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9
흡수하여 명암을 구분하는 광수용체(로돕신)을 포함한 나노
소포
체가 테라헤르츠 센서 위에 입혀진 모습(왼쪽). 광수용체의 11-시스 분자 구조가 외부의 빛 자극에 의해 모두 트랜스 형태로 분자식이 바뀌는 과정(오른쪽 위). 분자 구조의 변화시 특정 파장의 테라헤르츠파 신호가 민감하게 ... ...
[카드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이 말하는 당신의 건강은?
2018.07.05
올해 1월 ‘어드밴스드 머티티리얼스’에 발표했다. 이 나노 입자는 인체 내의 나노
소포
체에서 유래한 것으로, 암세포의 면역세포를 회피 기능을 차단시키는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세포를 돕는다. 김 박사팀은 암세포가 만드는 일조의 ‘방어막’인 세포외 기질을 분해해 뚫는 나노 물질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