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38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 한국
전기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7.30
◇한국
전기
연구원 △감사실장 백창제 △운영관리실장(안산) 김용주 ...
[과기원NOW] 폭발 없는 대용량 ESS '철-크롬 흐름전지' 수명 향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전지는 일반적인 배터리와 달리 전극 물질이 물에 녹아 있는 전해액 형태로 존재한다.
전기
를 저장하거나 꺼내 쓸 때는 전해액을 흘려보내기만 하면 된다. 철-크롬 흐름전지는 가격 경쟁력은 뛰어나지만 크롬의 반응성이 약해 충전이 느리고 출력도 약하다. 연구팀은 전해액 안의 사이아나이드 ... ...
"취업 연결? 삼성에 기회 주는 것"…'의대 이탈 0' 포스텍 반도체공학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전자 소자 학회 저널'에 발표하는 성과를 내 주목받았다. 강유전체는
전기
장이 사라져도
전기
적 성질을 유지하는 물질을 말한다. 강유전체 메모리는 빠른 속도와 비휘발성을 동시에 갖춘 차세대 저전력 메모리로 주목받는다. 이 교수는 도 씨의 사례를 들며 "6~7년의 교육 과정을 거쳐야만 논문을 쓸 ... ...
포스텍, 저온 공정으로 수소 생산 효율 6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각각 반응이 일어나야 한다. 음극에서는 수소가, 양극에서는 산소가 발생해야 한다.
전기
분해를 계속하려면 음극과 양극 반응이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 수소만 생산하려고 해도 산소 발생 반응이 필요한 것이다. 산소를 만드는 과정(OER, Oxygen Evolution Reaction)은 속도가 느리고 전력 소모가 많아 ... ...
'뇌질환 치료' 나노로봇 만드는 막스플랑크-연세 IBS 센터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세계적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양국 간의 우호 증진과 나아가 인류 공영에도 이바지하는
전기
를 마련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막스플랑크-연세 IBS 나노의학 센터 운영비는 MPI와 IBS 양측이 각각 최대 연간 8억 원(50만 유로)씩을 최장 10년간(5+5년) 지원한다. 스파츠 소장은 "장기적인 협력을 할 수 ... ...
폭염 속 에어컨 바람과 겨울 추위 다르게 느끼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따라 적절한 행동을 유도할 만큼 세분화돼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영상기술과
전기
생리학 분석을 활용한 쥐 실험에서 피부에서 뇌까지 저온 자극이 전달되는 과정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선행 연구에서 같은 방식으로 화학적 가려움과 기계적 가려움의 신경 경로를 식별하기도 했다. 분석 ... ...
인체 삽입 의료기기 무선충전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에 게재됐다. 연구에 참여한 (왼쪽부터) 장진호 DGIST
전기
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와 강성우 DGIST 박사과정생. DGIST 제공 -https://doi.org/10.1016/j.bios.2025.11778 ... ...
걸을 때 생기는 정
전기
로 신경치료…배터리 없는 '간편 전자약'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전임상 실험 결과 금속 삽입 부위에 전류가 집중돼 신경 재생 효과가 향상됐다. 생성된
전기
가 치료 부위까지 전달될 때 전류 감쇠율은 4% 이내였다. 금속 삽입체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분해돼 제거 수술이 필요 없다. 개발된 기술은 회로나 배터리 없이도 체내 전류 흐름을 설계해 자극을 ... ...
수천겹 '전복 껍데기' 구조 모사한 유연·고강도 전자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내구성이 강하다. 물질이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인 유전율이 일반 절연체보다 25배 높아
전기
저장 능력도 뛰어나다. 유연 전자기기와 메모리 소재 등에 유망한 후보라는 평가다. 박 교수는 "자연이 수억 년에 걸쳐 만들 정교한 구조를 구현해 기존 소재의 한계를 넘을 가능성을 열었다"며 "차세대 유연 ... ...
뇌신경 희귀 유전질환, 차세대 유전자가위로 '정밀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ATP1A3'이라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발생한다. 신경세포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서
전기
적 신호 전달이 불안정해지면서 영아기부터 발작과 한쪽 마비 증상이 교대로 나타난다. 지적·운동 발달 지연으로 이어진다. 연구팀은 생후 수개월 내 발작과 마비 증상이 반복되는 AHC의 원인 유전자 ATP1A3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