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트
최초
시작
시초
출발점
개시
출항
뉴스
"
출발
"(으)로 총 1,119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KAIST 물리학과 교수는 “개방형 양자 공정 인프라는 산학연 연계를 통한 양자가치사슬의
출발
점”이라며 “다양한 양자 플랫폼 구현에 필요한 공정을 연구하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협의체를 구성하여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기술 ... ...
강원 화천서도 관측된 오로라, 더 센 태양폭풍의 '준비운동'
동아사이언스
l
2024.05.14
폭풍의 직접적인 원인은 현재 태양의 적도 아래쪽에 위치한 흑점 군집 '활성 영역 3664'가
출발
점이다. 흑점은 강한 자기장 때문에 태양 표면의 대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상대적으로 표면 온도가 낮아져 검게 보이는 부분을 말한다. 태양은 약 11년을 주기로 활동성이 강해지거나 약해진다. 태양 ... ...
내 적의 적은 친구?…통계물리학이 규명한 '정치적 양극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5.06
때 친구면 양수(+), 적이면 음수(-)로 연결선을 표현할 수 있다. 어떤 개인에서
출발
해
출발
점으로 다시 돌아오는 모든 순환에서 연결선의 부호를 모두 곱한 값이 양수일 경우 균형적인 연결망이다. 만일 한 순환이라도 음수라면 불균형이다. 불균형은 사회에 불안과 긴장감을 준다. 예를 들어 세 ... ...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
과학동아
l
2024.04.27
하나를 사러 편의점에 다녀오더라도 누군가에겐 반드시 목격되게 돼있다. 우선 집을
출발
할 때, 편의점까지 걸어가는 길에서, 그리고 편의점에서 사람과 마주칠 수 있다. 당신이 닌자처럼 잽싸서 이동하는 내내 그 누구도 마주치지 않을 자신이 있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2024년 대한민국에는 곳곳에 ... ...
[화보] 올해 최고의 천체사진은 태양의 '민낯'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33을 담았다. 염소 33은 지구와는 약 239광년 떨어져 있어 239년 전의 빛과 약 1초 전 달에서
출발
한 빛이 지구의 하늘에서 만난 모습을 표현했다. 천문연 제공 ... ...
국내 최초 양산형 군집위성 1호, 뉴질랜드 발사장까지 이동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4.03.29
2020년부터 개발한 지구관측 실용위성이다. 초소형군집위성은 29일 KAIST 인공위성연구소를
출발
해 인천공항을 통해 뉴질랜드 오클랜드공항까지 항공으로 이동한다. 4월 4일에는 뉴질랜드 마히아 반도 위성 발사장까지 지상으로 이동한다. 초소형군집위성 1호의 그래픽 이미지. 과기정통부 제공 ... ...
새 수장 뽑은 의협 "장·차관 파면하고 尹대통령이 전공의 직접 만나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전날 한덕수 국무총리와 조규홍 장관의 서울대병원 방문을
출발
점 삼아 긴밀한 소통을 해나가자는 요청이다. 이에 대해 의협 비상대책위원회는 전공의와 윤 대통령이 직접 만나 결자해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의협은 27일 입장문을 통해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등 ... ...
우주항공청 인재 채용 '흥행'?'…여전히 '가시밭길'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3.26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NASA와 공동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출연연 한 연구자는 "이제 막
출발
한 우주항공청이 좋은 인력을 데려오기 위해선 NASA와 같은 최고 기관을 따라잡겠다는 장기적인 목표가 아닌 단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근거를 보여줘야 한다"며 "국내 연구기관과 민간기업 생태계가 지닌 ... ...
스페이스X 캡슐 타고 돌아온 우주인 4명 '임무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대립 중인 미국과 러시아가 우주에서는 협력을 지속했다. 이들은 지난 2023년 8월 ISS로
출발
한 이후 199일 동안 지구 궤도에 머무르며 ISS의 유지보수 활동과 과학 실험을 진행했다. 모그벨리는 NASA의 다른 우주비행사인 로랄 오하라와 함께 우주유영을 수행하며 우주정거장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를 ... ...
포유류 추위 감지 단백질 발견…"추위 통증 이해·치료 기대"
연합뉴스
l
2024.03.12
2019년 예쁜꼬마선충에서 처음으로 발견한 추위 단백질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3'(GLR-3)에서
출발
했다. 예쁜꼬마선충은 1~2㎜ 정도에 불과하지만, 단백질 정보가 담긴 유전자는 생쥐와 인간 등 많은 종에서 진화적으로 보존돼 있어 연구용 동물로 널리 사용된다.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의 추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