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트
최초
시작
시초
출발점
개시
출항
뉴스
"
출발
"(으)로 총 1,120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전 예산 1800억 전액 삭감에…원자력학회 "원전산업 근간 무너뜨려"
동아사이언스
l
2023.11.21
포함시켜 지원 중"이라며 "국내 i-SMR 기술개발 사업이 이들 국가에 비해 다소 늦게
출발
했으나 2028년까지 표준설계인가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 전액 삭감으로 해당 계획의 추진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이어 "원자력 분야 예산 삭감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세계적인 ... ...
김성근표 포스텍 비전 구체화…4000억원+α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14
추진하는 계기가 된 글로컬대학 지정을 두고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지방대 위기'에서
출발
한 이 사업의 당초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포스텍 관계자는 "글로컬대학3.0 사업은 단순한 지방대 구제를 넘어 대학 혁신을 통해 유능한 인재를 배출하고 지역 산업계 성장을 견인하는 것이 ... ...
[나는1저자다] ①"연구 트렌드에 안 흔들려야...현재 처우론 가정 꾸리기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3.11.14
한국의 경우 보통 학위과정을 마치면 군 문제가 걸려있다. 외국의 과학자들과 비교하면
출발
선이 늦어지게 되는 부분이 있다. 이후에는 정규직 일자리에 대한 고민이 뒤따른다. 주변 동료들 중 가정을 꾸리게 된 경우 처우나 안전성을 가진 일자리를 찾는 것과 관련해 힘들어하는 모습을 적잖게 ... ...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이 코로나·장 바이러스 억제"
연합뉴스
l
2023.11.09
버드나무 껍질은 수천 년간 약용식물로 이용돼 왔고 최초 합성 의약품인 아스피린의
출발
점이 된 것으로 유명하다. 1899년 독일 바이엘이 특허를 등록한 아스피린은 버드나무 껍질 속 살리실산을 이용해 합성한 것이다. [게티이미지 제공.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 ...
"AI, 생명과학에 새로운 가능성 불어넣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11.06
연구비를 이 교수가 이끄는 바이오인공지능연구단에 쾌척했다. AI와 바이오의 융합에서
출발
하는 참신한 연구를 발굴‧지원하는 것이 유일한 조건이었다. 민간 차원에서 이뤄진 큰 규모의 연구지원인 동시에 특정 성과를 달성하는 등의 미션이 부여도지 않았다. 국내에서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 ...
'인지과학'으로 40년 만에 재탄생한 서울 지하철 노선도
과학동아
l
2023.11.04
대 내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개선된 노선도의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노선도에서
출발
지점과 도착지점을 안내한 뒤 길을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환승역을 거쳐 목적지로 향하는 길을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각각 측정했다. 아이트래킹(시선 추적) 기술을 이용해 시선이 머무는 곳도 ... ...
고독하지 않고 사회적인 고양이…'276가지 표정'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6
연구팀은 대규모 고양이 집단이 서로 어떻게 소통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연구의
출발
점이 됐다고 설명했다. 또 그간의 연구가 주로 고양이의 공격성에 대해 초점이 맞춰져 있던 점도 이번 연구에 착수한 계기 중 하나로 꼽았다. 연구팀은 고양이 ... ...
화재 현장 변사자 콧속 그을음 채취 키트, ‘과학치안 아이디어’ 대상
동아사이언스
l
2023.10.19
시스템 중심으로 조직운영체계를 전환해 가고 있으며, 과학치안 아이디어 공모전이 그
출발
점이라고 할 수 있다”며 “수상작을 비롯한 우수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정책 반영 및 연구개발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
"1천200만년 전 유인원·인류 공동 조상 얼굴 형태 되찾았다"
연합뉴스
l
2023.10.17
진화 조상과 더 가깝다는 사실이라며 이는 피에롤라피테쿠스가 호미닌의 진화 경로에서
출발
위치에 있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 출처 :PNAS, Kelsey Pugh et al, 'The reconstructed cranium of Pierolapithecus and the evolution of the great ape face', https://doi.org/10.1073/pnas.2218778120 -저작권자(c) 연합뉴스 ... ...
불멸의 세포 '헬라 세포' 70여 년 만에 보상받는다
과학동아
l
2023.10.14
암, 독감, 그리고 노화까지 2009년 기준 6만 여 건의 생명과학 연구가 이 세포 하나로부터
출발
했다. 헬라(HeLa) 세포 이야기다. 헬라 세포는 1951년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헨리에타 랙스에게서 채취된 뒤 70여 년간 다양한 생명과학 연구에 활용된 자궁경부암 세포다. 헨리에타 랙스의 이름을 따 헬라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