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론
주의
견해
의견
원리
설
론
뉴스
"
학설
"(으)로 총 128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화문에서] 창조과학이라는 유사과학
과학동아
l
2015.09.08
문헌을 아전인수로 끼워 맞춘다고 허물어뜨릴 수 있는 게 아니다. 진화나 빅뱅에 맞설
학설
로 대등하게 다뤄 달라는 주장에 이르면 그 파렴치함에 화가 날 지경이다. 자신 있으면 뒤에서 운동을 하지 말고 지식이 형성되는 장에서 논문으로 제대로 겨뤄 보라.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싶다면 ... ...
사람의 폭력성은 진화의 산물일까
2015.08.09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이, 케플러 등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는
학설
을 세우게 됐다. 이때까지만 해도 사람들이 생각한 우주는 ‘정적인 우주’였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가지고 나오며 우주의 성격은 역동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망원경이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갑자기 중단된 뒤 왜 한 세대 동안이나 잊힌 채 방치돼 왔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봉한
학설
이 정말 ‘노벨상 수상이 기대됐던’ 대단한 업적이라면 세계 곳곳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이때가 기회다’라는 생각으로 뛰어들었어야하지 않을까. 물론 기고문을 보면 봉한관을 찾는 게 대단히 어려운 ... ...
후성유전학이 답한다
과학동아
l
2015.07.29
믿은 사람들은 세포 안의 ‘화학 작용’이 발생 방향을 지시한다고 추측했다. 두
학설
의 대립은 19세기 후반에 끝이 났다. 현미경이 발달하면서 생식세포가 피부세포나 뇌세포가 없는 단일 세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연히 정자 안에 아주 작은 사람도 존재하지 않았고 전성설은 몰락했다. ... ...
PART 02.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 공식 3
과학동아
l
2015.07.28
본능적으로 열량이 높은 음식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실제로 진화학자들의
학설
중에는 이를 뒷받침하는 주장이 있다. 인간이 수렵채취 시대부터 몸 안에 에너지를 더 많이 저장하기 위해서 에너지원이 되는 기름진 맛(지방)과 달콤한 맛(탄수화물)에 쾌락을 느끼도록 진화했다는 것. ... ...
[메르스 업데이트] 생물과 무생물 경계에 있는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2015.06.06
퇴화설’은 정상적인 세포가 퇴화해서 유전체와 껍질 단백질로 남아 바이러스가 됐다는
학설
이다. 천연두를 일으키는 폭스바이러스와 대상포진을 일으키는 헤르페스바이러스 유전체가 사람과 같은 이중가닥 DNA로 돼 있는 데다 80~100개의 유전자가 있다는 것이 주요 근거다. 하지만 이 ... ...
남달랐던 티벳 고원의 형성 과정
2015.04.26
하지만 광범위한 조사 결과 연구진은 중국 광서성 삼강(三江) 지역의 경우 이
학설
과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됐다는 확신을 얻었다. 땅 위를 흐르는 강줄기들의 연결망이 시간이 흐르면서 변했고, 그 가운데 일부는 강줄기에서 떨어져 나와 고립된 호수가 됐다. 이런 호수들이 땅을 짓누르는 ... ...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와이어 발견
2015.03.24
도쿄대 박사, 김관표 UNIST 교수, 정후영 UNIST 교수다. - UNIST 제공 이번 연구 결과는 기존
학설
을 뒤집는 획기적인 발견이다. 지금까지는 그래핀의 표면 위에서 특정 무기물질이 스스로 정렬되거나 조립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었다. 무기물질 나노와이어는 이제 막 연구되기 시작한 신물질로 전기 ... ...
난치병 ‘간질’ 치료 원리 찾았다
2015.03.24
기대하고 있다. 이정호 교수는 “선천적으로 몸 전체에 돌연변이가 분포한다는 기존
학설
을 뒤집고 뇌에만 돌연변이가 발생해 난치성 뇌질환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증명한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의과학 분야 학술지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 24일자 온라인 판에 ... ...
아이 러브 ♥ 고기
2015.01.28
유전자를 왜 갖고 있을까요. 노화 과정을 진화생물학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학설
중에 ‘플라이오트로피 가설’이 있습니다. 플라이오트로피 현상은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형질에 관여하는 현상입니다. 어떤 유전자가 아동기와 청년기에 유익한 기능을 담당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만약 그 ... ...
이전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