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론
주의
견해
의견
원리
설
론
뉴스
"
학설
"(으)로 총 128건 검색되었습니다.
심장 건강에 좋은 초콜릿 만드는 비법
과학동아
l
2016.11.30
주원료인 코코아에 들어 있는 플라바놀 성분이 당뇨와 심혈관질환에 좋다는 기존
학설
을 입증하는 증거가 나왔다. 미국 브라운대 의대 심혈관대사건강센터 시민 리우 교수팀은 매일 초콜릿을 먹어 플라바놀을 200~600mg씩 섭취한 사람에게서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 ...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11.20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의 태양은 지금보다 10~15% 더 어두웠다. 기존
학설
은 태양 대신 메탄가스가 지구를 데워 바다가 액체 상태를 유지했고, 생명체가 진화할 수 있었다고 추정했다. 연구에 참여한 UC리버사이드 생물지구화학과 티모시 리온스 교수는 “현재 시점에서 인류가 ... ...
광합성의 적, 해충보다 더위!
과학동아
l
2016.11.18
저장량에 큰 차이가 없었다. 도시에 해충이 급증한 탓에 광합성 효율이 떨어진다는 기존
학설
을 뒤엎는 결과다. 하지만 더운 지역에 사는 나무들은 다른 지역에 사는 나무에 비해 탄소 저장량이 크게 줄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에밀리 마인키 연구원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지난 1년간 롤리 ... ...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 많게 진화
과학동아
l
2016.10.17
왼쪽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두 번째 사진은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목 동맥 흔적. 오른쪽 사진은 두개골을 뒤집어 놓은 모습으로, ... 에드워드 스넬링 교수는 “인류가 진화하면서 뇌가 커진 덕분에 지능이 발달했다는 기존
학설
을 뒤집는 연구 결과”라고 밝혔다 ... ...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
수학동아
l
2016.10.08
작지만 이렇게 돌기둥이 둥글게 세워져 있는 곳이 많습니다. 고대에 천문대였을 거라는
학설
이 있었지만, 이제껏 돌기둥의 목적이 명확히 밝혀진 적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호주 애들레이드대 물리학과 게일 히긴바텀 연구팀이 5000년 전에 둥그렇게 세워진 돌기둥은 태양과 달의 움직임에 따라 ... ...
노벨상 수상자들의 편지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
과학동아
l
2016.09.04
황금쌀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그만하라고 요청한다. 과학적 사실과 모순되는 감정과
학설
에 기반해 GMO를 반대하는 것을 멈춰야 한다. 얼마나 많은 가난한 이들이 죽어야 이를 ‘인류에 대한 범죄’로 여길 것인가.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GMO가 위험하다고 주장하는 그린피스의 근거가 과학적이지 ... ...
“지구온난화-자연변동 둘 다 맞다”
2016.09.02
눈이 쌓였다. 일견 모순돼 보이는 이런 현상을 자연 변동과 지구온난화로 각각 설명하는
학설
이 충돌하고 있다. 이를 두고 “자연 변동과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둘 다 인정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됐다. 이분법을 거두고 두 가지 모두에서 근거를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테오도르 셰퍼드 ... ...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
2016.08.08
이번 발굴로 초기 청동기 문화인 얼리터우 유적(Erlitou site)이 하나라와 관련이 있다는
학설
이 한층 힘을 얻게 됐다. - 사이언스 제공 ● 지진으로 산사태 나 댐 만들어져 학술지 ‘사이언스’ 8월 5일자에는 곤과 우 부자(父子)가 22년에 걸쳐 토목사업을 벌인 끝에 간신히 극복한 대홍수가 4000년 전 ... ...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
과학동아
l
2016.07.30
이는 간상세포와 원추세포가 각각 다른 망막 기원 세포에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학설
을 뒤집는 결과다. 이런 특징은 포유동물(생쥐)에서만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백악기 말 빛이 차단되면서 공룡은 멸종하고 포유동물은 살아남은 이유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내놨다. 간상세포가 발달한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크기의 조류에 비해 수명이 훨씬 짧다는 패턴을 발견했다. 당시 널리 받아들여지는
학설
은 수명이 덩치와 비례한다는 가설이었다(수명의 대사율 가설로 지금도 유력한 이론이다). 기존 가설이 설명하지 못하는 현상에 대해 메치니코프는 기발한 해결책을 제시했는데, 바로 장내미생물이 수명에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