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스페셜
"
가장
"(으)로 총 5,00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대우받을 '자격'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
2024.02.03
다른 실험에서는 한 그룹(자격의식 조건)의 사람들에게 ① 왜 나는 삶에서 가질 수 있는
가장
좋은 일들을 바랄 자격이 있는지 ② 왜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좋은 삶을 누릴 자격이 있는지 ③ 왜 내 삶은 내가 바라는 대로만 흘러가야 하는지 위 3가지를 떠올려 보게 했고 다른 그룹의 사람들에게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사용량은 적설량에 의해서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물론 작업자들이 제설제를
가장
합리적으로 살포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겨울 날씨가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변덕스럽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무작정 작업자를 탓할 수는 없는 일이다. 도심에서 화학적 제설이 편리한 것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저수지 높이차로 만드는 친환경에너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1.28
발전소다. 2022년 스위스 서남부 발레주에서 운영이 시작된 NDD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에너지 저장장치 중 하나다. 전력 수요가 적은 야간에 잉여 전기를 이용해 하부 저수지에서 상부 저수지로 425m 높이를 거슬러 물을 끌어 올린다. 6초 동안 올림픽 수영장을 가득 채울 정도의 속도로 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박사가 화제가 됐고 그래서인지 여러 차례 방한하기도 했다. 그런데 세 사람 가운데
가장
늦게 리보솜 구조규명 경쟁에 뛰어들었고 따라서 인지도도 낮은 라마크리슈난 박사가 2018년 ‘Gene Machine(유전자 기계)’이라는 제목의 회고록을 펴냈다. DNA 구조 연구 상황을 그린 제임스 왓슨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악티노마이신은 그 때까지 발견된 물질중
가장
항균 효과가 강했지만 대신 독성도
가장
강해서 부작용이 잘 나타나는 점이 문제였다. 광범위하게 세균잡는 약을 찾아내려는 왁스먼의 계획은 그 후에도 계속해서 성과를 보여 주었다. 또다른 제자 호닝(Elizabeth Horning)이 1942년에 푸미가신(fumigacin)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6위, 최근 프랑스 슈퍼컵을 들어 올린 이강인, 지난해 발롱도르 22위로 수비수 가운데
가장
높은 김민재 등 어느 때보다도 화려한 선수진을 자랑하는 우리나라가 이번에는 꼭 우승했으면 좋겠다. 아울러 경기 해설이나 뉴스에서도 프리미어리그처럼 기대득점 같은 새로운 통계 수치와 그래프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젤란은하에서 관측된 어린 별 주변 강착원반
동아사이언스
l
2024.01.06
맥로드 영국 더럼대 외부은하 천문학 센터 박사 연구팀은 지난해 11월 29일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외부 은하인 마젤란은하에 존재하는 '강착원반'을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강착원반(accretion disk)은 원반 모양으로 형성된 가스와 먼지들이다. 별을 형성하는 가스구름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그래서 낮이
가장
긴 ‘하지’(夏至)는 거의 언제나 6월 21일이고, 밤이
가장
긴 ‘동지’(冬至)는 거의 언제나 12월 21일이다.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춘분과 추분은 거의 언제나 3월 21일과 9월 23일이다. 우리를 포함한 동양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24절기가 모두 그레고리력에 정확하게 반영되어 있다. ... ...
[과기원NOW] 노준석 교수·김민규 박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8
글로벌 조사분석기업 '클래리베이트'가 선정한 크로스 필드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에 이름을 올렸다고 28일 밝혔다. 클래리베이트는 매년 논문 피인용 횟수 상위 1% 등 여러 지표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영향력을 입증한 연구자를 HCR로 선정한다. 노 교수는 빛을 자유자재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마셔본 적은 없었다. 그런데 우연히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 회장의 인터뷰를 읽다가 “
가장
맛있는 커피는 프렌치프레스로 우려낸 것”이라는 구절이 인상에 남았다. 마침 스타벅스 매장에 프렌치프레스 기구가 있어 샀고 그 뒤 즐겨 이용해왔다. 원두를 사면 하루는 핸드드립으로 하루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