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너"(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생은 과연 인간을 성장시킬까2018.12.15
- 내가 정말 마추픽추를 제대로 체험했다고 느낀다면 버스를 타고온 사람을 부러워하거나 너희들도 걸어서 올라오라고 강요할 필요가 전혀 없는 것처럼 말이다. 또한 안타깝지만 내가 어떤 일을 통해 많이 얻었다고 ‘느끼는’ 것과 정말로 그랬는지는 별개이다. 예컨데 연인과의 이별을 겪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2018.12.05
- ‘재생가능 및 지속가능 에너지 리뷰’ 제공 독일 뮌헨공대의 화학자 라인하르트 니스너 교수는 2014년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에 발표한 리뷰논문에서 디젤유가 불완전 연소를 하는 과정을 설명했다. 엔진 내부로 기름방울이 분사될 때 방울 내부와 기체분자 농도가 높은 방울 표면 바로 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2018.09.08
- 쏙 뺀 결과 정도여서 지금 눈 앞에서 고생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래도 할 만 하던데 너는 왜 못해?”라고 하고 만다. 이러한 현상은 계속해서 취직에 실패하고 있는 취준생, 또 따돌림을 당하고 있는 사람을 바라볼 때에도 나타났다. 한 번도 백수인 적이 없었던 사람과 백수였다가 최근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겸손해야 상대를 설득한다 2018.07.14
- 것이다. 해당 정보의 부정확함을 이야기하기보다 그걸 믿고 있는 네가 한심하다던가 너는 틀렸다고 하는 등 사람의 정체성과 자존감에 상처를 입히게 되면 방어적인 태도가 돌아오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지적 받는 사람도 ‘나의 지식 = 나’가 아님을 알아야 하지만, 지적하는 쪽도 몇 가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2018.07.10
- 시각이다. 암세포는 세포의 성장과 유지, 사멸(죽음)을 조절하는 정교한 시스템이 무너진 결과 제멋대로 행동하는 세포라는 게 기존 관점이다. 이에 따르면 이런 세포의 무리를 암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부르고 있지만 고장이 난 유전자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치료법도 달라야 한다. 암이 정복하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위로가 필요한 나에게 무슨 말을 할까? 2018.06.02
- 해서 내 몸을 싫어하지 않길. 내 몸의 필요에 좀 더 귀를 기울이길’, ‘게으르다고 너무 나를 후려치지 말고 내가 하는 노력들에 좀 더 감사하는 마음을 갖길’, ‘내가 나와 함께 하는 시간들을 두려워하지 않길’. 당신도 한 번 써보도록 하자. 위로가 필요했던 때의 나를 떠올려보자. 그 때의 ... ...
- [지뇽뇽 사회심리학]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이야2018.05.12
- 너그러움이 좋은 해결책이 된다고 이야기한다. 진정한 자존감을 위해서라도 스스로에게 너그러워질 때다. *출처 : 지뇽뇽 어떻게 해야 나를 향해 평가자의 태도를 버리고 지지자의 태도를 가질 수 있을까요? 불필요한 불행을 없애는 자기자비 연습 '나, 지금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 지나치게 통제하는 부모의 공통점2018.05.05
- 생각을 할 수 있었고 마음이 조금 후련해지는 경험을 했다. 부모와의 관계에서 ‘너 때문에’, ‘이게 다 널 위해서’라면서 주는 상처 때문에 힘들었던 적이 있다면, 실은 내가 문제인 게 아니었을 수 있음을 상기해 보자. Amitay, O. A., Mongrain, M., & Fazaa, N. (2008). Love and control: Self-criticism in parents and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2018.04.21
- 나쁘다고 평가해버릇할수록 그 과정에서 괜히 남들과 비교하며 기분이 나빠지기도 하고 너가 이래서 안 되는 거라며 스스로에게 모진 말을 던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긍정적 정서 상태’가 목적인 행복의 경우는 자신이 행복한지 평가하는 과정 자체가 목표를 망치는 셈이 된다는 것이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칭찬을 받을 때 불편한 느낌이 드는 이유는?2018.04.14
- 그렇지 않다고 하는 것 자체가 이상한 것 같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그래 지금 너가 힘들구나. 참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구나’라고 내 삶을 바라보는 나의 관점에 부합하는 이야기에 훨씬 더 큰 힘을 얻는 현상이 나타난다(Marigold et al., 2014). 나라는 사람 전반 VS. 나의 한 가지 행동 하지만 내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