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외
우연
예상밖
생각밖
예상외
스페셜
"
뜻밖
"(으)로 총 112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구조가 비슷한 분자(탄소원자가 하나 더 있다)이므로 어찌 보면
뜻밖
의 결과도 아니다. 이런 일이 반복되다보니 미국 국립연구회의(NRC)는 지난해 ‘대체 화합물 선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즉 문제가 있는 물질을 대체할 물질이 환경과 건강에 안전하다는 ... ...
[Green Economy_기업인사이드] 이산화탄소를 플라스틱으로 바꾸다! 그린폴
동아사이언스
l
2014.11.19
있었지만, 그 데이터와 관련된 촉매를 버리지 않고 고분자 반응을 테스트했다. 그 결과
뜻밖
의 고활성의 결과를 얻게 됐고, 이를 바탕으로 정밀한 분석을 진행해 지금의 SK 촉매를 개발하게 됐다. “그린폴 수지가 신규 소재였기 때문에 적용할 수 있는 분야를 찾는 것도 어려웠습니다. 기존의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우리나라 같으면 부당 고용이라고 말이 많을 것 같은데 서구에서 이런 배려가 있다는 게
뜻밖
이었다. 미국은 워낙 땅덩어리가 넓다보니 주말부부가 아니라 연말부부가 될 가능성도 있어서 그럴까. ●무명 대학 동시 채용 제의 받아들여 ‘네이처’도 6월 26일자 기사에 아쉬움이 있었는지 10월 ... ...
[생활 속의 기술]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KOITA
l
2014.08.08
여드름 치료 목적으로 개발했다가 환자들의 얼굴에서 피부 탄력과 주름이 개선되는
뜻밖
의 효능을 발견하면서 화장품에 결합했다. 레틴A는 각질층에 쌓인 늙은 세포는 떨어져 나가게 하는 반면 젊은 세포는 성장을 촉진시켜 피부를 젊은 세포로 회복하게 만든다. 레티놀은 레틴A에서 만든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드립 카페에서는 아프리카 원두로 에티오피아와 케냐, 탄자니아가 메뉴에 올라있는데
뜻밖
이었다. 그런데 문득 ‘르완다면 예전에 학살이 있었던 곳 아닌가?’하는 생각이 떠올랐다(1994년 내전으로 인구의 10%가 넘는 100만여 명이 살해됐다). 뒤이어 ‘커피 농장 노동자들의 하루 임금은 지금 이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그 원인을 찾기 위해 이런 저런 조건을 바꿔보다가 실험자의 성별이 영향을 미친다는
뜻밖
의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이 결과는 대중적으로도 흥미로운 요소가 있기 때문에 국내 언론에도 다소 가벼운 톤으로 소개됐지만, 사실 심각한 문제다. 즉 통증 뿐 아니라 대부분의 연구에서 스트레스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13
유지의 관계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음에도 이처럼 실제 연구된 사례가 거의 없다는
뜻밖
의 사실에 놀라 하루 두 세 잔의 커피 섭취가 탈수를 정말 일으키는가에 대한 정밀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자들은 평소 하루에 커피 3~6잔을 마시는 비흡연자 남성(여성은 생리주기가 미치는 영향 때문에 ... ...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은 사자?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표범과 묶기에는 몸 구조가 너무 달랐기 때문이다. 그런데 분자계통분류 결과를 보니
뜻밖
의 매치가 많았다. 가장 놀라운 건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게 사자가 아니라 눈표범이라는 것. 둘의 공동조상은 288만 년 전에 갈라졌는데 비해 호랑이와 사자의 공동조상은 372만 년 전에 갈라졌다. 눈표범의 ... ...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두 사람 모두 평소에 건강하고 쾌활해 보였기 때문에 이런 갑작스런 죽음은 정말
뜻밖
이다. 그런데 적지 않은 사람들이 패혈증으로 사망하는 것 같다. 필자 주변을 봐도 지난 1~2년 사이 친척 한 분(호흡기 감염)과 지인의 아버님(수술 중 감염)이 패혈증으로 유명을 달리했다. 입원하고 불과 1주일여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translocation)’라고 부른다. ‘재미있는 책이겠네….’ 창을 닫고 다시 목차를 보다가
뜻밖
의 발견을 했다. 자넷 롤리 교수가 쓴 해설논문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고 보니 올해는 롤리 교수가 필라델피아 염색체가 전좌의 결과임을 밝힌 지 40년 되는 해다. 아마도 이를 기념해 ‘사이언스’가 관련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