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외
우연
예상밖
생각밖
예상외
스페셜
"
뜻밖
"(으)로 총 11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때 아인슈타인 뇌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교세포 대 뉴런(신경세포)의 비율이 높다는
뜻밖
의 사실이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교세포는 뉴런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 결과를 계기로 신경과학자들은 교세포에 주목하게 됐고 지금은 뇌에서 뉴런만큼이나 중요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기생충 뉴스도 있고 해서 모처럼 구충제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 두 편을 소개한다. 그런데
뜻밖
에도 기생충에 대한 게 아니라 암에 대한 내용이다. 구충제와 암이 무슨 관계가 있을까. ● 구충제 NTZ, 항바이러스효과에 항암효과까지 학술지 ‘네이처 화학생물학’ 10월 30일 온라인판에는 구충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가로등을 설치하면 백색등일 때보다도 범죄율이 더 올라갈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뜻밖
의 질문에 당황한 필자는 “파란빛이 범죄율을 낮춘다는 건 처음 듣는 얘기”라고 답하며 말을 흐렸다. 집에 와서 검색해보니 정말 일본 나라현에서 “파란색이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며 2005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훗날 방광암이나 요로암이 발생했다. 벨기에 당국은 정밀조사에 들어갔고 이 과정에서
뜻밖
의 사실이 밝혀졌다. 즉 다이어트 약물에서 신장을 망가뜨린 게 한방기가 아니라 광방기(廣防己. 학명 Aristolochia fangchi)였다. 즉 한방기로 알고 쓴 약초가 실은 광방기였던 것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보였고 짙은 남보라색 꽃도 있었다. 그리고 천변의 나팔꽃이 한 종이 아닌 것 같다는
뜻밖
의 발견도 했다. 즉 잎의 생김새가 세 갈래로 갈라진 개체와 함께 하트 모양의 둥그스름한 개체도 있었다. 꽃의 색이야 같은 계열의 색소(아마도 안토시아닌일 것이다)라도 분자의 디테일 차이나 농도에 따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원숭이와 유인원에 있어 학술지 ‘사이언스’ 7월 28일자에는 손놀림의 진화에 대한
뜻밖
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좀(사실은 한참) 과장을 하면 생쥐도 갓 태어났을 때는 ‘손’으로 피아노를 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데 자라면서 회로가 끊어져 평범한 ‘앞발’이 된다는 것이다. 실제 회로를 ... ...
흉악범도 용서할 수 있을까
2017.07.08
용서는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되기도 한다. 톰슨은 용서는 결국
뜻밖
의 사건으로 인해 기존의 가정과 기대, 세계관이 무너졌을 때 나와 상대방, 세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정립하는 과정이라고 이야기 한다. 또 다른 학자들은 불의한 사건과 자신에게 해를 끼친 사람으로부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좀 나왔다. 빛이 전혀 들어가지 않는 장 속에 광합성을 하는 박테리아의 유전자가 있다는
뜻밖
의 결과였지만 박테리아 사이에는 유전자수평이동도 있으므로 아주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2013년 사람의 장과 지하수 같은 깜깜한 곳에서 얻은 시료에서 시아노박테리아의 게놈이 해독되면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뼈의 새로운 측면이 드러나고 있다. 연구팀은 뼈에 또 다른 호르몬이 있나 알아보다가
뜻밖
의 월척을 건진 것이다. 렙틴과 마찬가지로 생쥐가 밤새 굶으면 혈액 내 리포칼린2 수치가 뚝 떨어진다. 그러다 먹이를 먹으면 수치가 세 배 정도 늘어나고 한 동안은 섭식 활동을 하지 않는다. 16주 동안 혈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이렇게 생물학 전반을 훑어보면 자신의 연구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되고
뜻밖
의 통찰을 얻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과학기자가 된 뒤 이 조언을 ‘확대 적용해’ 여러 분야의 학부 교재를 샀다. 시간 날 때 통독하려던 원래 의도가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최신 연구 결과를 기사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