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외
우연
예상밖
생각밖
예상외
스페셜
"
뜻밖
"(으)로 총 11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이후의 ‘뉴노멀’, 두려워할 이유 없다
2020.05.13
바로 바이러스의 서식처다. 바이러스가 자신의 서식처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우리와
뜻밖
의 갈등을 겪게 되었을 뿐이다. 한편으로는 자연과의 ‘조화로운 균형’을 주장하면서, 돌아서서는 ‘자연과의 과도한 접촉’을 경계해야 한다는 주장은 심각한 자가당착이다. 코로나19는 누군가가 박쥐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제공 1946년 어느 날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화학자 멜빈 캘빈 교수는
뜻밖
의 제안을 받았다. 1934년 원형 입자가속장치인 사이클로트론을 처음 만들어 1939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버클리방사선연구소(현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의 어니스트 로렌스 소장이 탄소14를 이용한 광합성 연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스트레스를 받으면 열나는 이유
2020.05.05
배측각피질(DP)과 배측덮개띠(DTT)가 알고 보니 스트레스 회로의 허브였다는 사실은
뜻밖
의 성과다. 회로 차단하자 겁 없어져 미국 심리학의 아버지 윌리엄 제임스(사진)는 19세기에 이미 감정이 몸의 생리 반응을 일으키는 게 아니라 생리 반응의 해석이 감정임을 간파했다. 심인성 발열 회로가 ... ...
코로나19에 NASA도 멈췄다…"2024년 달 탐사 계획 차질"
연합뉴스
l
2020.03.20
너머로 공개된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인파가 모이는 행사가 금지되면서
뜻밖
의 외로운 비행에 나서게 된 것이다. 그는 6개월간 우주에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출발 당일 발사대에도 환송 인파와 취재진 대신 소규모의 NASA 팀이 배치될 예정이다. 코로나19로 가족들이 그의 우주행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이오 벤처가 이룩한 ‘진단 강국’의 안타까운 현실
2020.03.18
정부 입장에서는 국민 안전이 최우선 과제가 아니었다. 대남병원과 신천지라는
뜻밖
의 돌발변수도 나타났다. 결국 2월 20일부터 폭증하기 시작한 감염이 최악으로 치닫고 말았다. 우리 국민의 입국을 반기지 않는 나라가 130개국을 훌쩍 넘어섰다. 세계 최고의 보건·의료 환경을 갖추고 있다는 ... ...
[인류와 질병]판데믹 시나리오 '이벤트201'이 주는 교훈
2020.02.22
뿐이라서 오히려 백신은 더 강화된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사스와 메르스 백신이
뜻밖
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의료자원의 배분 중국 후베이성 우한의 한 병원에서 16일 한 의료인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 환자들을 돌보던 중 벽에 기대 선 채로 쪽잠을 자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픈 자, 죽는 자, 멀쩡한 자
2020.02.04
니콜은 병원체에 감염된 동물이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더라도 전파력이 있다는
뜻밖
의 발견을 했다. 그는 사람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감염되지 않거나 감염돼도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비율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니콜은 1933년 발표한 논문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연구자들은 왼손잡이 여성들의 후각 능력과 뇌 구조의 관계를 보는 실험을 진행하다가
뜻밖
의 발견을 했다. 비교군인 정상 후각 능력을 지닌 여성 20명 가운데 두 명의 뇌에 후각망울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후각망울은 뇌의 한 조직으로 좌우 한 쌍이 존재하고 사람의 경우 야생 블루베리만한 ... ...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
2019.12.14
그래서 업존은 1963년 미녹시딜을 고혈압 치료제로 출시했다. 그런데 임상 연구에서
뜻밖
의 부작용이 관찰되었다. 일부 환자에게 털이 나기 시작한 것이다. 이유는 알 수 없었지만, 아무튼 효과는 좋았다. 임상의사들은 오프라벨로 약을 처방하기 시작했다. 오프라벨이란 원래 약의 승인된 적응증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진행될수록 몸의 정교함이 떨어져 암 발생 위험성이 높아진다고 알고 있던 필자로서는
뜻밖
의 패턴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나이가 들수록 사망 위험성 자체가 커지므로 상대적인 비율이 줄뿐이지 절대적인 발생 빈도는 여전히 늘어나는 것 아닐까. 아래 그래프는 연령대별 발병률을 보여주는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