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분리
붕괴
파열
분해
열개
분파
스페셜
"
분열
"(으)로 총 1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녹지는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
2019.04.23
유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시는 정신건강에 해로운 환경 조현병은 과거 '정신
분열
병'으로 불렸다. 약물로 잘 낫는 병이지만 '의심', '무기력' 증상은 치료의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우울증이나 조현병 등 정신질환은 유전적 영향이 더 큰 것 아닐까. 예를 들어 지난달 미국의 과학자들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낙태 반대론'의 또 다른 얼굴
2019.04.13
있다고 여겨지는지, 마지막으로는 낙태에 대한 태도를 물었다. (왼쪽부터) 세포
분열
이 여러 번 일어난 수정란, 수정된지 12일 된 인간배아의 현미경 사진, 태아 일러스트. 과학동아 제공(자료 네이처) 그 결과 보수적인 사람들은 태아를 사람으로 인지하는 측면에서 낙태 반대 이유를 잘 설명하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옥수수 꽃가루 탄생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없으며, 번식기를 앞두고 필요할 때 만들어낸다. 또한 체세포와 감수
분열
시 돌연변이가 발생해도 식물은 생식세포를 만들어낸다. 연구팀은 이 연구결과를 통해 식물은 개별 세포 단위에서 복잡한 단계를 거치면서 전사체들을 조절해 생식세포를 발달시키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
조현병 일으키는 유전자 413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개를 찾았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네틱스' 25일자에 실렸다. 과거 정신
분열
증으로 불렸던 조현병은 전 세계 인구의 약 2%가 앓고 있다. 환각이나 환청을 겪고 사고와 감정, 지각, 행동 등에서 이상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한 번 발생하면 약물치료를 받았더라도 재발 가능성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비롯해 대부분의 생물은 게놈이 2배체, 즉 염색체 한 쌍으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감수
분열
과정에서 염색체가 분리되지 않아 2배체인 생식세포가 만들어지면 3배체 또는 4배체(양쪽 다 이런 경우) 게놈을 지닌 수정란이 생긴다. 이 경우 발생과정에서 동물은 대부분 죽지만 식물은 종종 살아남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기존 근핵영역가설에 따르면 근력운동으로 근육을 자극하면 위성세포(satellite cell)가
분열
해 근섬유(근육세포)에 융합되며 세포핵을 공급해 근섬유가 굵어지고 운동을 끊으면 세포핵의 일부가 사라지며 근섬유가 위축된다(왼쪽).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운동을 끊어 근섬유가 위축될 때도 ... ...
[표지로 읽는 과학]‘게르마늄’ 존재 믿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를 제안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3
수소는 우주의 75%를 차지한다. 존슨 교수는 “우주는 빅뱅 이후 원소들이 결합하거나
분열
되면서 계속 변화해왔다”며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별이 있는 한 원소는 계속해서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대부분의 별들이 소멸하게 되는 빅뱅 후 10조 년이 지난 미래에는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처음으로 입증한 것이다. 이들은 노화 세포에 p16Ink4a라는 단백질이 많이 존재한다(세포
분열
주기를 멈추게 한다)는 데서 아이디어를 얻어 이 단백질의 발현이 높은 세포에 약물을 처리하면 세포사멸에 들어가게 유전자 조작을 했다. 이렇게 노화 세포를 없애자 정말 몸의 노화와 관련된 증상의 발생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각질세포 표면에도 존재한다. 그런데 샌달로어로 OR2AT4를 활성화시키자 이번에는 세포
분열
이 활성화되면서 표피에 난 상처가 빠르게 치유됐다. 암 진단지표 또는 치료표적으로 코가 아닌 곳에서 발견되는 후각수용체와 관련된 또 다른 놀라운 사실은 여러 암세포에서 후각수용체 발현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역할을 할까. 단세포 유전자는 세포 주기와 대사 과정에 주로 관여했다. 즉 세포가
분열
하고 성장하는데 필요한 유전자라는 말이다. 반면 다세포 유전자는 조직 분화나 개체의 복잡성, 세포사멸에 관여했다. 결국 단세포성이 커진다는 건 세포 증식을 지향하고 사멸을 피하는 방향으로 간다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