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분리
붕괴
파열
분해
열개
분파
스페셜
"
분열
"(으)로 총 184건 검색되었습니다.
북미 정상 '한반도 비핵화'합의, 핵 시설 폐기 절차 어떻게?
2018.06.12
“공개되지 않은 제조시설이 나올 수 있어 시간은 상당히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핵
분열
반응이 일어난 뒤 남은 핵연료 물질을 처리하는 사용후핵연료 재처리시설 해체는 또다른 난관이다. 인체에 매우 치명적인 방사선인 감마선을 방출하는 고준위 폐기물이 가득하기 때문이다. 박광헌 경희대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시설이다. 플루토늄은 핵무기 1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임계질량(핵
분열
이 연쇄적으로 일어나게 만드는 최소한의 양)이 약 5kg으로 우라늄의 절반 수준이다. 북한은 이런 재처리 시설을 가동하기 위해 2003년 1월 두 번째로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프레드 게이지 박사팀은 죽은 사람의 뇌를 들여다본 결과 성인의 뇌에서 세포
분열
이 일어나 뉴런이 새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해 학술지 ‘네이처 의학’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지난 20년 동안 무려 6300회나 인용됐을 정도로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1998년 미국 소크연구소 프레드 게이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전이 일어나는 첫 단추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8
전이가 ‘소핵’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를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소핵은 염색체
분열
때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온전한 염색체를 갖지 못하고 일부만 갖게 되는 핵을 말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존재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이 소핵은 곧 파괴되는데, 이 때 소핵 속에 들어있던 DNA 조각이 주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복구하는 Fancd2 유전자 양쪽이 다 변이형인 생쥐의 경우 염색체 이상이 쉽게 나타난다.
분열
중인 세포의 상태로 염색체 일부에 절단이 일어나 다른 염색체에 붙은 ‘전좌’가 두 곳 일어났다. - ‘네이처’ 제공 한편 세포사멸을 막기 위해 이에 관여하는 p53 같은 유전자를 끌 경우 대신 줄기세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조사결과 몇몇 암에서 그 산물인 KPNB1 단백질의 농도가 높았다. KPNB1 단백질은 세포
분열
을 촉진하고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할 경우 암세포의 증식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들은 기존 약물 가운데 그런 작용을 하는 약물을 찾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내용이다. 가장 큰 문제는 배양액 1밀리리터당 세포 수가 100만 개가 넘으면 더 이상 세포
분열
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결과 수혈용 혈액 한 단위에 필요한 적혈구 2조 개를 만들려면 배양액이 적어도 2500리터가 필요하다. 참고로 피 1㎖에는 적혈구가 50억 개 정도 들어있다. 물론 세포를 키운 뒤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밝혔습니다. ▲ 등 뒤에서 유령과 같은 환각을 경험하게 해주는 이 로봇은 정신
분열
증과 같은 상태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참고 및 출처 http://www.skepdic.com/infrasound.html https://www.god-helmet.com/wp/god-helmet/index.htm http://www.masslive.com/news/worcester/index.ssf/2015/10/got_a_ghost_break_out_the_disi.html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사고가 난 게 언제인데 어떻게 아직까지도 유출된다는 것일까. 원자력 발전(우라늄핵
분열
) 과정에서 다양한 방사성핵종이 나오는데 사고 당시 문제가 된 게 요오드131과 세슘137이었다. 둘은 특성이 정반대로 요오드131은 반감기가 불과 8일이라 유출 초기에 노출될 경우 특히 위험하고 세슘137은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검출기로도 중성미자의 결맞음 상호작용 검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향후 핵
분열
및 핵융합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응용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