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스페셜
"
분자
"(으)로 총 1,026건 검색되었습니다.
2년 전 지구 떠난 화성탐사선...홍수·유기물·오로라 흔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7
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불어오는 고에너지 입자가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 속 원자나
분자
와 부딪치면서 빛을 내는 현상이다. 화성에는 지구처럼 전체 자기장이 작용하지는 않지만 일부 지역은 수십억 년 전 자기장으로 자성을 띠기도 한다. 화성의 오로라는 과거 생명체가 살 수 있을 정도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리소좀 질환 해결할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9
효소 생산에 문제가 생긴다는 것을 발견했다. 요하네스 주버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분자
병리학연구소 교수와 빌헬름 팜 독일 암연구센터 세포신호및대사 담당 연구원팀은 세포 내 섭취가 일어날 때 리셋이 중요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이번주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리셋이 없으면 리소좀은 ... ...
[노벨상 2022] "받을 사람이 받았다"...인류건강과 혁신기술 '씨' 뿌린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반응을 내놨다. 박승범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두 분야는 생명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관찰하고 조절하는 화학생물학과 신약 개발에 커다란 공헌을 했다”며 “생명현상 연구에 새로운 시대를 열어 이미 수상이 예측돼 왔다”고 말했다. 2022 노벨화학상 공동수상자인 캐럴린 버토지(55) 미국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찰칵' 하면 결합하는 '클릭화학'...신약 개발 '주춧돌'
2022.10.06
온도를 가해서 반응을 촉진할 수 없다. 클릭 반응은 생체 내의 다른 유기물들 및 생체고
분자
들과는 상호작용을 하지 않으면서 상온에서 원하는 반응을 선택적으로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살아있는 세포나 생명체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다. 2022 노벨화학상 공동수상자인 캐럴린 ... ...
[노벨상 2022] 美 과학자 샤플리스, 2001년 이어 21년만에 노벨 화학상 '또'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화합물을 얻는 방법을 연구한다. 간단하게 얻은 화합물은 신약합성이나 기능성 고
분자
개발, 바이오 이미징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한다. 과학 분야 노벨상에서 2번 상을 받은 것은 샤플리스 연구교수가 4번째다. 미국인 과학자 존 바딘이 1956년과 1972년 각각 물리학상을 받았다. 영국 화학자 ... ...
[노벨상 2022] 암 표적 찾는 신약에 기여...'클릭화학' 연구자 3인 화학상(종합)
2022.10.05
구현한 특정 환경에서만 선택적으로 일어나 생명체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웠는데 생체
분자
가 많은 세포 환경에서도 촉매 없이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라고 말했다. 2022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캐럴린 버토지(55)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 스탠포드대 제공 클릭화학은 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때문이다. 먼저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다음은 내부가 진짜 세포질처럼 다양한 생체
분자
들로 채워져 있다. 세 번째로 진핵세포의 핵처럼 DNA와 히스톤 단백질로 이뤄진 내부 구조물이 있고 다음으로 미토콘드리아에 대응하는 구조가 있다. 다섯 번째로 세포골격이 있고 여기에 액포도 존재한다. ... ...
[노벨상 2022] 미라·고대인류 뼈 ‘덕후’ 첫 생리의학상 안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영향을 미치는 100여 개 유전자를 밝혀냈다"고 말했다. 스반테 페보는 최첨단
분자
생물학적 기법을 고인류학에 도입했다는 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김 교수는 "4~5만 년 전 뼈에서 DNA를 추출할 때는 DNA 자체도 잘 보존돼 있기 힘들고 박테리아 등 다른 DNA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 ...
[과기원은 지금] 고동연 KAIST 교수팀, 기체분리 전자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8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에 착안했다. 연구팀은 전자 조사량에 따라 틈새 크기를 달리해
분자
쌍을 정밀하게 걸러낼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그간 분리에 어려움을 겪던 여러 기체 혼합물을 분리하는데 성공했다는 데 의미를 가진다. 고 교수는 "2018년부터 시작된 수소 경제 도입 및 활성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비슷한 구조를 지닌
분자
들은 상호작용 방식도 비슷하고(위) 다른 구조를 지난
분자
들은 다른 방식으로 상호작용함을 알 수 있다(아래). 사이언스 제공글라이신수용체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