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필
엣세이
산문
소론
essay
스페셜
"
에세이
"(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조만간 일감을 잃을 게 확실해지더라도 어차피 부업이다! 물론 나중엔 인공지능이 과학
에세이
도 쓸 날이 올지 모르겠지만.) 한 문단을 긁어 넣고 클릭을 했다. 아래는 원문, 번역기 번역, 필자 번역(물론 번역기를 돌리기 전에 번역한 것이다)의 순서다. The fishes of Lesbos breed in the Lagoon at Pyrrha. Some of ... ...
문학 바깥에도 문학이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상당한 수준에 와 있는 경우가 많다. 유명한 과학저널에 실리는 과학논문들도 문학적인
에세이
형식으로 발표되는 경우가 많다. 구조주의 철학의 장을 연 책의 하나로 손꼽히는 레비스트로스의 <슬픈 열대>는 일종의 문화기술지 학술서인데도 한때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된 적이 있다. 학술적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꽤 많다. - 무라카미 하루키 ‘이윽고 슬픈 외국어’라는 제목의 무라카미 하루키의
에세이
집을 읽다가 위의 구절을 발견하고 무릎을 쳤다. 십 수 년 전부터 필자가 느껴왔던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소설가가 이런 소리를 하니 용감한 걸까? 아무튼 필자는 언제부터인가 소설은 가끔 단편을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
2016.06.27
문헌에야 나온다는 것이다(그것도 상황 설명으로). 필자는 이에 대해 좀 더 알아보다가
에세이
집 ‘생활의 발견’으로 유명한 20세기 중국 문필가 임어당(린위탕)이 쓴 ‘소동파 평전’이 번역돼 있다는 걸 발견했다. 비록 ‘물류상감지’에 대한 내용은 없었지만 이 책을 통해 유명한 시인이라는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있는 대릉원에 와서는 책에서 ‘우리의 뿌리이자 원형의 다른 이름-대릉원에서’라는
에세이
를 읽은 뒤 둘러보는 식으로 이곳저곳을 다녔다. 특히 분황사와 황룡사지가 인상적이었다. 사진으로만 봤던 분황사 모전석탑은 생각보다 규모가 커서 좀 놀랐다. 벽돌로 지어서인지 탑이라기보다는 집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기억하는 것으로 보아 필자가 생각해온 영국인의 이미지가 깨진 게 참신했던가보다. 이
에세이
는 ‘스타일’이라는 파트에 실려 있는데, 스타일이란 ‘그 누구도 모른다. 그러나 누가 보아도 그런 줄 아는 것이 스타일이다’라고 애매하게 정의할 수밖에 없는 그런 것이란다. 즉 자기 내부에 강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에이즈 환자 목숨 구한 면역학자 ‘윌리엄 폴’
2016.01.07
화학요법 연구를 수행했다. 정량적 면역화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마이클 하이델베르거의
에세이
집을 우연히 읽고 감명을 받은 폴은 면역학을 연구하기로 결심하고 1964년 뉴욕대의 바루지 베나세라프 교수 실험실에 들어간다. 베나세라프는 항체 유전학 연구로 198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게 된다.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과학
에세이
를 써서 먹고 살지만, 몸이 아프면 ‘의학’에 가까운 양의원보다 ‘의술’에 가까운(물론 필자 개인의견이다) 한의원을 먼저 찾는다. 침을 맞거나 뜸을 뜨거나 약을 지어 먹는 게 어떻게 병을 고치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효과가 있는 것 같기 때문이다. 반면 아무리 병의 메커니즘을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다이어트법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 역시 이 연구에 깊은 인상을 받아 한
에세이
에서 소개하기도 했다(과학카페82 ‘똑같이 먹었는데도 살 안찌는 비결은 뭘까?’ 참조). 그런데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이 연구결과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미국 듀크대 해럴드 에릭슨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는데 특히
에세이
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수년전 손택의
에세이
집 ‘강조해야 할 것’을 읽으며 ‘이렇게 지적인 여성과 카페에서 커피 한 잔 마시며 담소를 나누면 근사할 텐데…’ 하는 생각을 잠시 했던 기억이 난다. 손택은 의학에 관련된 책도 썼다. 1978년 출간한 ... ...
이전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