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기술
공학
스페셜
"
응용과학
"(으)로 총 11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자원 전쟁 이미 시작… 과학적 분류부터 응용까지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0.07.06
“생물 자원관은 우리의 생물자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류하는 기관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그치지 않습니다. 단지 보관만하는 것이 아닙니다. 분류한 생물의 유전자도 분석하고 연구합니다. 앞으로는 연구를 통해서 생물자원을 기업, 연구소, 대학 등에 분양을 하는 등 바이오 분야의 연구의 ... ...
“국토의 64%는 산림, 생명과학 연구의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10.05.25
“수목에서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효과적인 물질을 추출한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오디에서 추출한 물질은 피부 세포 신장효과가 있습니다. 또 헛개나무 성분은 임상 실험을 해보니 간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더군요.” 정광수 산림청장(57)은 우리가 흔히 접하는 약품, 화장품, 식품 등의 사례를 들면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개발(R&D)을 할 땐 사업(business) 감각도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런 개념을 흔히 ‘R&BD’라고들 부릅니다. 중요한 개념이지만 여기서도 뭔가 빠진 게 있습니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죠. 소위 일류과학자일수록 친구가 많습니다. 진짜 중요한 것은 연계(Connection) 개념을 중 ... ...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2.14
휴대폰으로 심근경색 진단을 테스트하는 정봉현 “신약개발 같은 장기사업도 물론 중요하죠. 하지만 너도 나도 그것만 할 수는 없지 않습니까? 생명공학기술을 조금만 응용하면 다양한 시장개척이 가능합니다.” 정봉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센터장은 바이오융복합기술 연구에 관 ... ...
“농식품산업기술에 ‘씽크탱크’가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09.11.11
“앞으로 농림수산식품 분야 연구가 우리 삶을 바꿔놓을지 모릅니다. 먹고사는 문제뿐만 아니라 에너지, 의약품, 화학소재 등과 연결해 사람들이 잘 살 수 있도록 연구기획하고 지원하는 게 우리 기관의 역할입니다. 산업소재나 의약품 소재를 만들기 위한 품종을 개발해 작물을 재배하고, 질병치 ... ...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과학을 선택한 인생이 행복해” 김은경 연세대 화공생명학과 교수 “어렸을 때부터 과학을 좋아했고 그래서 과학자가 되었죠. 오르내림도 있었지만 과학을 한 덕분에 평생 즐겁게 살았어요. 지금도 과학 하는 사람들과 만나면 ‘우린 참 행복하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연구 결과로 이어진다’ ... ...
R&D전쟁 잘 하려면 ‘전략지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27
우리나라 출연연과 기업 등에서 나오는 특허의 인용 건수는 선진국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연구개발(R&D) 결과로 논문과 특허가 무수히 쏟아져 나와도 크게 활용되지 못한다는 이야기다. 그 원인은 무엇일까. 이를 밝히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기술혁신학회와 과학기술정책평가원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미국하버드 의대 샹카 교수와 함께 한양대 RNAi 연구실에서 찍은 사진. 출처 : 한양대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이 중요해” “정상세포에게 치료약물은 오히려 독일 수 있어요. 현재 전 세계적인 추세는 어떻게 하면 표적세포에게만 약물이 작용하게 할 것이냐는 거죠. 약물전달도 ... ...
“BT산업 육성의 선결조건은 융복합에 강한 인재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09.09.02
공동교육과정도 마련했다. 물리를 전공하는 학생이 표준연에서만 공부하지 않고,
응용과학
전공자인 ETRI 연구원으로 부터 교육을 받도록 배려하는 형태다. 이 때 학생들은 “내가 배우는 학문이 이렇게도 응용이 되는 구나”라고 생각해 학습의 능률이 오르기 마련이다. 이 밖에 대학 교수진을 ... ...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09.04.23
의사와 과학자가 공동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부터 ‘의사(MD)-이공계 박사(Ph.D) 협력연구 프로그램’에 약 3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공계 생명과학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성과를 임상에 적용해 보고 싶어 하지만 접근이 어려운 게 사실이에요. 인체 조직 같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