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응용과학"(으)로 총 1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Q: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을 소개해주시기 바랍니다. A: 연구단은 '몸속에서 살고 있는 미생물이 우리 면역계를 어떻게 조절하는가'라는 질문에 답을 찾고자 합니다. 찰스 서 단장은 특히 음식물이 우리 몸의 면역계 발달과 반응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에 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식물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2016년 3월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세기적 대결을 통해 제대로 불이 붙었다. 이제 전 세계의 화두는 4차 산업혁명으로, 그 중점에 있는 AI는 헬스케어, 스피커, 주식투자, 자율주행차 등 각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정부는 지능정보기술이라 ... ...
- 세계 최고 출력 4PW(페타와트) 레이저 개발에 일조하다IBS l2016.10.31
- 앞으로의 초강력 레이저 개발을 주도하고 싶다는 유제윤 연구위원 - IBS 제공 2012년, 당시 티타늄 사파이어 레이저로는 세계 최고인 1.5PW를 달성했던 초강력 레이저 연구진. 그 연구진에서 올해 레이저의 출력을 종전보다 3배에 가까운 4PW로 끌어올렸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이뿐만 아니라 레이저 빔 ... ...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IBS l2016.09.01
- Q: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을 소개해주세요. A: 분자는 나노미터 크기로 매우 작습니다. 또, 매우 빠르게 움직이죠. 이런 분자들의 고속운동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측정하는 분자 동영상 촬영 방법을 개발해 분자 수준에서 다양한 생명 현상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분자가 움직이는 것을 관찰 ...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IBS l2016.09.01
- “빛과 색은 그동안 뇌 속 신경세포(뉴런)들의 활동을 기록하는 데 사용돼 왔지만, 최근 기술 발전으로 빛을 뇌 조직 속의 더 깊은 곳까지 전달할 수 있게 돼, 뇌 질환 치료법 향상의 길을 열게 됐다.” 세계경제포럼(WEF)은 지난 6월 '2016년 10대 유망 기술' 중 하나로 광유전학을 꼽으며 선정 이유를 이 ... ...
- "과학기술의 미래, 기초 연구에 달렸다"IBS l2016.07.05
- 유용한 기술들은 처음에는 공상과학소설이나 영화에만 나오는 기술들이었을 것이다. 응용과학은 '더 빠른 말'을 만드는 것이지만, 기초과학은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자동차와 같은 전혀 새로운 것을 탄생시킬 수 있다." "대학에서의 개선 필요해" 김성근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학장은 ... ...
- 나노과학의 대가, 세계 최고를 꿈꾼다IBS l2016.07.04
- 포커스 인터뷰(Focus Interview) Q: 처음부터 나노 분야를 연구하지는 않으셨다고 알고 있습니다. A: 미국 일리노이주립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는데, 박사 학위 논문은 초음파로 분말을 만드는 음파화학 분야였습니다. 재료화학 분야에 속하지만, 나노 분야와는 전혀 달랐지요. 1997년 한국에 들어오면 ... ...
- 인간의 아름다운 의지, 유전자의 한계를 극복하다. 가타카(GATTACA, 1997)IBS l2016.04.04
- 1997년 개봉한 영화 가타카(GATTACA)는 인간이 유전자를 통해 타고나는 운명과 스스로의 의지로 만들어가는 운명에 대해 무거운 질문을 던진다. 가타카가 그려내는 미래사회는 유전자 조작으로 우성인자만 지니고 태어난 '엘리트' 들이 지배계층을 이루고 자연적인 선택으로 태어나는 '신의 아이'들을 ... ...
- 포기는 없다. 눈앞 문제부터 해결해 살아남으라.IBS l2016.03.03
- 영화 마션은 한 과학자가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의 모든 과학적 지식을 동원해 생존하는 우주판 로빈슨 크루소다. - (주)이십세기폭스코리아 제공 나 홀로 화성에 남았다. 갑자기 불어 닥친 모래 폭풍에 생사의 고비를 넘기고 가까스로 살아남았더니, 나만 빼고 동료들 모두가 지구를 향 ... ...
-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치료물질 개발을 위해 뛴다IBS l2016.03.02
- 이은성 연구위원은 청암 사이언스 펠로십과 티메 케미스트리 저널 어워드를 받은 주목받는 젊은 연구원이다. - IBS 제공 포스텍 캠퍼스 깊숙이 자리 잡은 화학관 건물의 한 실험실. 이은성 연구위원(포스텍 화학과 교수)이 검은 고무장갑 한 쌍이 팽팽하게 나온 글러브박스(밀폐공간이 필요한 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