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뼈
등골
척추골
등골뼈
척수골
척수
등심대
스페셜
"
척추
"(으)로 총 14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이 책에서 우리와 가까운 유인원은 물론이고 영장류와 포유류, 심지어 어류까지 포함한
척추
동물 전반에서 관찰한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감정적 존재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음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다. 드 발은 “생물들의 생존 이해는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 ...
만성요통 환자 자극선별 세포와 통증감각 처리 뇌 영역 유독 발달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내놨다고 29일 밝혔다. 요통은 허리가 아픈 증세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허리 근육 손상 및
척추
관 협착으로 인해 발생한다. 하지만 이런 직접적·물리적 원인 외에도 신경병성 요통이 발생하는데,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말초부터 뇌에 이르는 신경로의 이상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도 사람처럼 잠을 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3
조류, 파충류 정도에게만 렘수면 단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어류 등 다른
척추
동물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지 못했다. 연구팀은 생후 2주인 제브라피시의 신경세포 활동, 근육과 심장의 움직임을 관찰해 기록할 수 있는 장비를 만들어 수족관에 설치한 다음 관찰했다. 물고기는 ... ...
몸속 뼈 건강 유지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골다공증 치료 새 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발생하면 이후 재골절의 위험이 2~10배까지 증가하며 연관된 사망률도 높아진다.
척추
혹은 대퇴골 골절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골절이 없는 사람에 비해 약 80% 정도로 낮아진다. 현재 골다공증에 처방되는 약물은 여러 부작용을 일으키거나 이미 진행된 골다공증은 회복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한계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어둠 속에서 색을 구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2
‘실버 스피니핀’이라는 심해어는 간상세포 속에 38개의 옵신 유전자를 갖고 있었다.
척추
동물의 원추세포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옵신 유전자 수보다도 많은 수다. 대조적으로 인간은 4개의 옵신을 사용해 색을 구별한다. 실버 스피니핀의 옵신은 서로 다른 파장에 민감한, 모두 다른 색을 확인할 ... ...
[표지로 읽는 과학] 새 깃털 입고 박쥐처럼 날아다닌 암보프테릭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두 번째다. 암보프테릭스는 이치에 비해 앞다리뼈가 넓고 길며, 꼬리뼈가
척추
에 융합돼 있어 꼬리가 짧다. 연구팀은 암보프테릭스가 다른 비행 수각류와는 달리 박쥐와 비슷한 방식으로 날았을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몸에는 털이 나 있어 언뜻 새와 비슷하지만 날개는 박쥐와 닮았다. 그 ... ...
우주복이 뭐길래…세계 첫 여성우주인만으로 꾸려진 우주 유영 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ISS에서 우주인은 중력을 거의 느끼지 않아
척추
간격이 벌어져 키가 커지는 등의 체형 변화가 일어난다. 우주복을 지구상에서 우주인에게 맞도록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실제로 매클레인은 4일 본인의 트위터에 “발사 이후로 키가 2인치(약 5cm)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마크 테스트로 입증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어류는 포유류보다 머리가 한참 떨어지는
척추
동물로 여겨지고 앞서 버들붕어가 결코 거울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걸 떠올리면 놀라운 결과다. 포유류나 조류가 종에 따라 인지능력이 천차만별이듯 어류도 차이가 크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특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이 과정에서 다시 바다로 돌아간 종이다. 흥미롭게도 실러캔스(Coelacanth)의 게놈에는 육상
척추
동물에만 있는 2군 후각수용체 유전자가 7개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위키피디아 제공 문득 후각수용체와 코(후각상피)의 관계는 뉴런과 뇌의 관계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즉 동물 진화 역사에서 뉴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약해지면서 자극에 대해 과도한 가려움 반응이 일어난다(아래). 메르켈 세포는
척추
의 개재뉴런(NPY+)를 통해 억제신호를 전달한다. - ‘사이언스’ 제공 한편 늙은 생쥐에게 메르켈 세포를 자극하는 물질을 투여할 경우 가려움 억제 신호가 강화돼 젊은 생쥐처럼 적당히 가려움을 느끼는 수준으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