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척추"(으)로 총 14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들어가는 작업이라는 걸 생각하면 그럴듯한 현상이다. 한편 Rac1은 사람을 포함한 척추동물에도 있는 단백질이다. 그렇다면 사람에서도 비슷한 망각 메커니즘이 작동할까? 이에 대해서는 아직 실험적으로 증명이 되지 않았지만 게놈분석연구결과 Rac1 유전자가 자폐 관련 질환과 연관돼 있다는 증거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2017.11.21
- 그런 작용을 하는 약물을 찾았고 구충제인 이버멕틴이 걸렸다. 원래 이버멕틴은 무척추동물(기생충)의 신경세포와 근육세포의 막에 있는 염소이온 통로단백질에 달라붙어 통로를 열어 신경신호전달을 차단해 근육을 마비시켜 작용한다. 그런데 KPNB1 단백질에도 달라붙어 그 작용을 방해한 것이다. ...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 틀어줬습니다. 그리고 음악에 대한 반응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초저주파가 존재할 때 척추가 오싹해지고, 긴장감과 두려움이 고조되고, 불안하거나 슬픈 감정이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유령과 만날 수 있게 하는 자기장 유령이나 귀신이 자주 출몰한다고 알려져 있는 곳에는 불규칙한 ... ...
- [표지로 읽는 과학]일본산 굴이 하와이에서 발견된 까닭은?동아사이언스 l2017.10.01
- 분석한 결과, 본래 북아메리카와 하와이 해안에 없던 무척추 동물 235종, 어류 2종, 미세 무척추 동물 33종, 원생동물 19종이 일본으로부터 이동해 왔다는 결론을 냈다. 그리고 이곳에 유입된 외래 해양 생물들은 20%가 생존해 수년간 지내고 있다. 이 연구는 허리케인, 홍수 등 자연재난이 빈번하게 ...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2017.03.14
-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앞으로 또 얼마나 놀라운 발견이 이어질지 기대감이 높다. 중국 척추동물고고학고인류학연구소는 최근 110만 달러(약 13억 원)를 들여 고인류 화석에서 DNA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연구실을 만들었다. 이번 두개골이 발굴된 지점과 한반도는 1000km가 조금 더 되는 거리다. 그리고 1 ...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연항생제 내뿜는 바다의 파수꾼 ‘해초’동아사이언스 l2017.02.19
- 식중독 균에 감염될 위험이 그만큼 줄어든다는 뜻이다. 해초밭 일대는 물고기와 해양 무척추동물, 산호에 해를 입히는 병원균도 절반 수준으로 낮았다. 해초는 남극 대륙을 제외하고 지구의 모든 대륙붕(수심 200m 이내 얕은 바다)에 산다. 얕은 바다의 수질을 개선하고 물고기 서식지를 제공해 ...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동아사이언스 l2017.02.12
- 배아 단계에서 항문이 입보다 먼저 생기는 동물로, 불가사리와 성게부터 인간이 속한 척추동물까지 매우 광범위한 생물종의 공동 조상이다. 결국 영장류나 원숭이보다 더 오래된 인류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사코르히투스의 대칭인 몸 구조는 인간을 비롯한 많은 후손들이 물려받았다. 하지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2017.01.04
-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7억 년 전 공통조상에서 갈라진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이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1994년 하루 28시간 주기를 보이는 돌연변이 생쥐가 나왔다. 생체시계가 고장 난 이 생쥐에게 연구자들은 ‘클럭(Clock)’이라는 이름을 붙여줬고 3년 뒤 Clock유전자가 ... ...
- 자연 속에서 살아있는 과학을 체험하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11.17
- '에코다이브'라는 행사로 국립생태원 내의 다양한 식물, 조류, 곤충, 양서파충류, 담수 무척추동물, 포유류, 담수어류, 지형을 엄마ㆍ아빠 손을 잡고 전문가 선생님과 함께 생태계 조사를 함께 하는 생태계를 직접 경험하는 생물다양성 체험프로그램으로 '생물다양성 보물찾기'로 불리기도 한다. ... ...
- 미국 대통령이 알아야 할 6가지 과학 이슈동아사이언스 l2016.10.23
- 교수도 1저자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는 100년 가까이 척추동물의 세포 실험, 발생 실험을 위해 실험동물로 사용됐다. 체외수정으로 한 번에 수백 개의 알을 만들기 때문에 실험하기 쉬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연구에도 한계가 있었다. 바로 유전체 ... ...
이전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