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스페셜
"
투과
"(으)로 총 13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이토록 황홀한 블랙을 본 적이 있는가
2019.09.17
99.99% 이상을 흡수한다. 광자 1만 개가 들어왔을 때 다 흡수되고 단 한 개만 반사되거나
투과
해 빠져나간다는 말이다. 미국 MIT 재료과학 공학부 브라이언 와들 교수팀은 처음부터 이런 물질을 만들 생각은 아니었다. 알루미늄 포일 같은 금속 박막에 전기 및 열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난각막은 두께가 6㎛(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에 불과하기 때문에 근적외선이
투과
하면서도 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연구자들은 AAT라는 회사와 손을 잡고 시제품을 만드는 단계에 있다고 한다. 달걀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감별을 할 수 있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미국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여기에 빛을 쪼여주면 특정 파장의 빛은 보강간섭을 일으켜 반사되고(빨간색) 나머지는
투과
한다(파란색). 즉 위에서 보면 플라스틱 표면이 빨갛게 보인다. 네이처 제공 잉크젯 프린팅보다 해상도 훨씬 높아 한편 미세구멍과 미세골격의 크기는 플라스틱 재료인 고분자의 종류나 평균 분자량, 정상파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
2019.04.09
소기관이 퇴화해 없고 크리스탈린(crystallin)이라는 수용성 단백질이 잔뜩 들어있어 빛이
투과
된다. 그런데 자외선이나 산화스트레스, 당화반응 등 여러 요인으로 크리스탈린 단백질에 변성이 생겨 서로 뭉치고 침전되면 빛이 부딪쳐 산란한다. 동태찌개를 먹다가 명태 대가리의 눈알에서 하얀 구슬 ... ...
수소 연료 앞당길 효율 높은 나노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약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센터가 보유한 이중수차보정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나노입자의 구조를 1조 분의 1m 단위인 피코미터 단위로 관찰하고 성분비를 분석해, 이 새로운 촉매의 특성을 밝혔다. 백현석 연구원은 “전자현미경의 성능을 더 개선해 하나의 원자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공기의 흐름이 느려지는 데다 필라멘트 사이의 간격이 수백㎛에 불과해 전체적으로 반
투과
성 막이 있는 것 같은 효과를 낸다. 그 결과 뒤쪽(갓털의 위쪽)으로 약간 거리를 두고 안정한 소용돌이 고리가 형성되면서 양력이 생긴다. 연구자들은 실리콘 원반을 가공해 공극률을 민들레 갓털 수준으로 ... ...
‘대중화’ 갈길 먼 수소車
동아사이언스
l
2018.10.12
말했다. 수소 운반은 의견이 갈린다. 김희탁 교수는 “수소는 크기가 가장 작은 분자로
투과
를 잘해 금속에 보관할 수 없다”며 “현재 폴리에틸렌과 탄소섬유를 이용한 고분자 수소탱크로 운반하는데, 장기 저장만 아니면 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고체에 흡착시켰다가 필요할 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자체가 병의 원인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며 “아직 확인 안 된 밀의 어떤 성분이 장벽의
투과
성을 높여 글루텐 같은 단백질이 안으로 들와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밀가루 음식 섭취로 사람들이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는 게 꾀병이 아니라는 데는 합의가 이뤄지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등 크기가 작은 물질이 침투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크기가 큰 물질들은 세포벽을
투과
하지 못한다. 이에 원형질 연락사가 세포 사이 미세한 구멍을 통해 크기가 큰 물질도 직접적으로 전달 및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즉 원형질 연락사는 세포간 물질을 교환하는 통로이자, 신호를 주고받는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채운 구조다. 반면, SNS는 두께 20m의 콘크리트 차벽 안에 담겼다. 중성미자 외 다른 입자가
투과
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연구진은 토스터 크기의 이 작은 탐지기로 43년 만에 이론으로만 제기돼 왔던 중성미자의 ‘결맞음 상호작용’을 처음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결맞음 상호작용은 파동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