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79건 검색되었습니다.
송신·암호화 동시 처리…'100배 빠른 라이파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4
트라이오드 소자를 구현했다. 고효율 발광 트라이오드 소자는 미세한 핀홀 구조를 가진
투과
전극을 통해 전기장을 집중시키고 두 개의 입력 데이터를 병렬 처리하는 독특한 설계로 만들어졌다. 연구팀은 고효율 발광 트라이오드 소자를 기반으로 내부에서 정보의 광 변조와 암호화를 동시에 ... ...
빛 공해 제로·열 차감 ‘스마트 윈도우’ 개발…"건물·차량에 적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스마트 윈도우 기술 'RECM 시스템'은 단일 전기변색 소자를 통해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의
투과
율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기존 금속 증착 기반 창호에서 문제가 됐던 외부 반사광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변색 소재를 활용해 억제, 건물 외벽에 적용 가능한 보행자 친화형 윈도우를 구현했다. ... ...
[과기원NOW] 포스텍, 올가을부터 외국인 학부생 선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UNIST)은 양창덕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이 10.81%의 광전변환 효율과 45.43%의 가시광선
투과
율을 기록한 반투명 유기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개발된 반투명 유기태양전지는 적외선만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고성능 광활성층을 갖는다. 광활성층은 전자를 주는 공여체와 받는 수용체 분자로 ... ...
싱크홀 부르는 도로 균열, 미래엔 '혼자' 치유한다
과학동아
l
2025.06.14
이어진다. GPR 탐사는 전자기파로 땅속을 조사하기에 빗물에 전파가 감쇄된 전자기파의
투과
력이 떨어지면 정확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노 주무관은 "2025년 서울시의 지반 검사 2회차에서는 공동 밀도가 0.4~0.5개/km였다"면서 "3회차인 지금은 0.2~0.3개/km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더 낮추기 위해 ... ...
[동물do감] 다채로운 무당벌레 색깔, 색소·구조 합작품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반점이 여러 개 있는 유럽무당벌레(학명 Calvia quatuordecimguttata)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투과
전자현미경(TEM)으로 두 무당벌레 딱지날개 표면의 미세구조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모델링해 미세구조와 빛의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딱지날개의 미세구조는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 ...
맞춤형 렌즈 붙여 초음파 검사 해상도 1.5배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국제학술지 '측정 과학과 기술'에 공개됐다. 초음파 이미징은 물체나 인체에 초음파를
투과
하고 반사되는 신호를 수집·분석해 구조를 형상화하는 기술이다. 초음파 이미징 방법 중 하나인 C-스캔(Scan)은 다른 방식보다 해상도가 높아 암 조직검사나 항공기·배관 결함을 손상 없이 평가하는 ... ...
'미세방울 유전자치료'로 슈퍼박테리아 무력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이 유전자 억제제를 전달할 수 있는 나노입자(BTN)를 제작한 뒤 미세방울을 활용해 세균막
투과
성을 높여 세균 내부로 전달되도록 유도했다. 치료는 두 단계로 작동한다. 먼저 미세방울이 세균이 만든 바이오필름 내부에서 압력 변화를 유도해 나노입자의 침투를 가능하게 한다. 이후 BTN이 세균 ... ...
스스로 조립되는 나노입자 전과정 관찰…'스케일링 이론' 가설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5.26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실시간 액상
투과
전자현미경(LP-TEM)을 활용해 대표적인 생분해성 생체적합 고분자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블록-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PEO-b-PCL)'에서 분자량과 블록 구성비에 따른 자기조립 과정을 실시간 관찰했다. PEO-b-PCL은 ... ...
눈 감아도 보인다…야간투시경 역할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콘택트렌즈의 기능이 유지됐다. 근적외선은 눈꺼풀을 쉽게
투과
하는 반면 가시광선은
투과
율이 더 낮기 때문이다. 샤오민 리 중국 푸단대 교수는 네이처에 연구결과를 두고 "SF 영화에서 튀어나온 것처럼 멋진 기술이다"며 "우리가 주변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을 바꿀 수 있다"고 평가했다. ... ...
뇌 특정세포 타깃 유전자치료, 뇌질환 치료 '게임체인저'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전달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BBB를 통과해 뇌의 표적 부위로 약물이 전달되도록 만드는
투과
기술도 개발중이다. 뇌질환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교정하는 방식의 치료도 유망하다. 유전자 치료 시 유전물질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으로는 AAV(아데노 부속 바이러스) 벡터 기술이 있다. ●특정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