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상시
평일
d라이브러리
"
평소
"(으)로 총 1,73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06
훨씬 늘어난다.실제로 일본의 경우 매년 평균 2~3개의 태풍이 상륙하는데, 남극 진동이
평소
보다 강한 양의 값을 가졌던 1989년에는 5개, 1993년에는 6개, 2004년에는 무려 10개의 태풍이 일본에 상륙했다. 이러한 정보는 태풍의 장기예보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극 진동은 여름비 예보관동아시아 ... ...
헌혈은 정맥, 맥박은 동맥 - 혈관
과학동아
l
200506
피부정맥을 쓴다.동맥과 정맥을 잇는 연결부위인 ‘동정맥연결’은 몸의 끝부분에 많다.
평소
에는 동정맥연결이 닫혀 있어 혈액이 몸 끝부분의 모세혈관까지 전달된다. 그러나 추울 때는 피부에 있는 동정맥연결이 열려 혈액이 모세혈관으로 흐르지 못한다. 체온을 덜 빼앗기기 위해서다. 이때 피부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05
김종성 과장은 최근 ‘춤추는 뇌’라는 책을 통해 비슷한 환자를 소개했다. 이 환자는
평소
에 술을 지나치게 마신데다 뇌졸중에 걸려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양쪽의 해마가 모두 손상됐다. 그는 영화 주인공처럼 새로운 기억을 10분 정도 밖에 유지하지 못했다. 밥을 먹은지 10분이 지나면 먹은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05
일을 하던 중 ‘불현듯’ 떠오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또 학창시절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평소
에는 잘 기억나지 않다가도 동창을 만나 얘기를 나누다 보면 옛 추억들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이미 저장된 기억이 뇌 안에 남아있다는 증거다.하지만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기억이 아무리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04
고구마에서 SWPA2라는 항산화효소 유전자 프로모터를 분리해 개발했다. 이 프로모터는
평소
에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다가 대상 식물이 산화스트레스를 받으면 그때부터 가동되기 시작한다.항산화 효소인 CuZnSOD와 APX 유전자를 엽록체에 동시에 발현시켜 산화스트레스에 잘 견디도록 환경을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03
보통 15cm 정도 남는 수술흔적은 5cm에 불과했고 수술 후 불과 나흘 뒤 퇴원할 수 있었다.
평소
비키니를 즐겨 입는 그녀는 지금도 당당하게 수영장에 들어선다.최근 로봇을 이용한 외과 수술이 의사와 환자들 사이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수술 성공률도 높고 수술 후 통증과 흉터가 작아 환자들의 ... ...
4년간 82편 '논문 女王' 탄생
과학동아
l
200503
그는 4년 내내 4.3 만점의 학점을 받았다.졸업과 함께 3월 미국 유학을 떠나는 장 씨는 “
평소
꿈꿔 온 줄기세포 연구를 위해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의 박사후과정에 진학해 치매나 중풍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 ...
카멜레온 물고기의 화려한 변신
과학동아
l
200503
색깔을 바꾸며 살아가는 물고기가 발견됐다. 송곳니가 날카로운 푸른줄 베도라치는
평소
에 두 줄의 밝은 파란 띠가 있는 오렌지색 또는 올리브색의 물고기다. 이 녀석은 산호초 주변을 배회하면서 지나가는 물고기를 공격한다.그런데 양놀래기과에 속하는 청소부 물고기가 주위에 있으면 몸의 ... ...
파리에 가다, 과학에 취하다
과학동아
l
200503
거지. 집이 큰 걸 보니까 파스퇴르도 부자였나 봐.어쨌든 그 박물관 안에는 파스퇴르가
평소
에 쓰던 100년 전의 실험기구가 한 방에 가득했어. 광견병 백신을 만든 장치, 편광기, 포도주 발효 장치가 탁자 위에 있었어. 파스퇴르가 ‘생물은 생물에서만 태어난다’는 생물속생설을 주장했잖아. 이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02
연구가 어떻게 진행돼왔는지 알아보자. 세포융합 아닌 직접분화성체줄기세포는
평소
에는 잠자고 있다가 장기가 손상된 경우 깨어나 필요한 세포로 분화해 손상 부위를 복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5월 필자의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손상된 장기가 줄기세포의 분화 운명에 직접 영향을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