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상시
평일
d라이브러리
"
평소
"(으)로 총 1,73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07
지진이 발생한 다음날 반경 1백km내에서 또다른 대규모 지진이 일어날 확률은 67%다. 이는
평소
확률의 2만배다. 실제 1992년 6월 랜더스 부근에서 규모 7.5인 강진이 발생하고 3시간 뒤 40km 떨어진 곳에서 규모 6.5의 지진이 뒤따랐다.그렇다면 여진은 왜 일어날까. 단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 ...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
과학동아
l
200407
출근해보니 상사가 왠지 잔뜩 격앙돼 있다. 상사에게 다가가
평소
에 좋아하는 화제로 얘기꽃을 피우자 그의 기분이 다소 가라앉는 듯했다. 그리고 그가 화가 난 이유를 들어주고 아무런 스트레스 없이 위기를 모면한다. 이 일화는 우리가 흔히 겪는 일상사 중 하나다. 어떻게 서로 얼굴 붉히는 일 ... ...
유전자 집어넣어 바람기 잠재운다
과학동아
l
200407
올 날도 머지않은 듯하다.미 에모리대 사회신경생물학자인 래리 영 교수와 동료들은
평소
바람둥이인 목초지 들쥐(meadow vole)의 뇌에 특정 유전자를 집어넣은 바이러스를 침투시켜 암컷 한마리에 만족해하는 성격으로 바꾸는데 성공했다. 이 유전자는 들쥐의 뇌속에서 ‘V1a 수용체’ 를 만든다. V1a ... ...
편두통 있으면 빙과류 자제해야
과학동아
l
200407
다시 찾아와 골치를 지끈거리게 하는 편두통.
평소
에 편두통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여름철에 빙과류를 조심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터키 코카엘리대 마지트 셀레클레르 박사팀은 아이스크림이 유발하는 두통과 편두통의 관련성을 학술지 ‘두통’ (Cephalagia) 4월호에 제시했다. ... ...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0407
자동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생체신호 측정에 전혀 관심을 둘 필요 없이
평소
와 똑같이 침대에서 잠을 자기만 하면 된다.또한 욕조에 별도의 전극을 설치해 목욕하는 동안 심전도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물이 전기를 전도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욕조에 사람이 들어가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06
도파민과 관련이 깊은 미상핵, 그리고 뇌간의 일부였다. 이 두 부분의 활성화는 지원자가
평소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그 정도가 심했다.즉 피셔 박사 연구팀에 따르면 사랑하는 사람을 바라볼 때 주로 활성화되는 것은 도파민이 함유된 신경세포들이다. 미상핵의 도파민은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06
“알려지지 않은 분야를 탐구하려는 열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평소
과학적 성과의 대중화를 주창하는 과학자로 유명하다. 이 때문인지 지난 4월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소장 취임차 한국을 방문했을 때도 국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사이언스코리아’운동에 관심을 표명하고 ... ...
02. 사랑하도록 디자인된 인체
과학동아
l
200406
여성은 성기관의 모양이 다르듯 성기능에도 차이를 보인다. 남성의 성기관인 음경은
평소
에는 수축돼 부드러운데 발기되면 마치 뼈같이 단단해진다. 이는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이 수렵을 할 때 음경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진화했기 때문이라는 연구도 있다. 쥐나 개와 같은 동물의 음경에 ... ...
과학으로 승부한다 - '무어의 법칙' 을 추월한 괴력의 삼성전자
과학동아
l
200406
때가 많다. 플래시 메모리로 만든 USB메모리에는 컴퓨터 운영체제인 윈도우즈를 비롯해
평소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파일이 통째로 들어가 있다. 해외 어딜 가서나 컴퓨터에 메모리를 끼우기만 하면 자신의 컴퓨터가 되는 것이다.컴퓨터의 하드디스크는 무겁고 큰데다 충격에 약하고 부팅하는데 오래 ... ...
금성, 태양의 품속에 잠기다
과학동아
l
200406
통과 현상이 계속된다. 따라서 좀더 수월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시점은 저녁 무렵이다.
평소
에도 우리는 지는 태양을 손쉽게 쳐다볼 수 있다. 태양이 지평선에 너무 붙어 있을 경우엔 대기 문제로 뚜렷하지 않지만,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 있을 때는 눈으로 보기에도 그리 밝지 않고 또 태양도 크게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