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지적 수학시점] 카트라이더, 백터로 코너 잘 돌기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드리프트는 핸들과 브레이크를 잘 조작해 차의 앞부분은 트랙의 안쪽을 향하고 뒷부분만 미끄러지게 해 방향을 빨리 바꾸는 기술입니다. 카트라이더에서는 방향을 꺾으면서 ‘shift’ 키를 누르면 쉽게 드리프트를 쓸 수 있습니다. 사실 실제 주행에서 드리프트를 쓰면 바퀴가 빨리 마모되고 ... ...
- 질서┃오리온자리 팔, 태양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정도 떠오른 상태다.나선팔의 한 가지 더 신비로운 비밀은 평평한 원반 형태가 아니라, 부분적으로 심한 굴곡이 있다는 점이다. 우리은하를 측면에서 보면 나선팔의 일부가 위로 볼록 튀어 나와 있는데, 이는 우리은하 주변의 위성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와 소마젤란 은하의 중력에 끌어당겨지기 ... ...
- [수학뉴스] 산이 그토록 아름다운 이유, 수학으로 찾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산꼭대기는 점으로, 산등성이는 선으로 나타냈습니다. 그 결과 지형이 전체를 보거나 부분만 떼어 봐도 닮은 프랙털 구조를 보였지만 별다른 특징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이번에는 산등성이를 점으로, 산꼭대기를 선으로 나타낸 뒤 각 점이 가진 연결선 수에 따라 새로운 분포도를 그렸습니다. 그 ... ...
- [과학]행성 만드는 젊은 별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연구팀은 바깥쪽 먼지 고리에서 먼지가 뭉쳐 밝게 빛나는 곳을 발견했어요. 연구팀은 이 부분이 태양계로 따지면 천왕성이나 해왕성이 있는 정도의 위치라고 분석했답니다.한편, 지구는 안쪽 먼지 고리와 비슷한 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연구팀은 안쪽 먼지 고리에 집중할 계획이에요. 연구에 ... ...
- 질서┃모든 것의 시작 빅뱅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대표적인 가설이 ‘정상우주론’이다. 우주는 시작도 끝도 없이 영원히 존재하며, 일정 부분 팽창하지만 그 공간을 메우기 위한 새로운 물질이 꾸준히 만들어진다는 내용이 정상우주론의 핵심이다. 정상우주론 지지자들은 “그럼 우주가 맨 처음에 ‘꽈광(Big Bang)’하고 생겨났다는 것인가”라며 ... ...
- 탐험┃태양계 탐험이야기··· 달 VS 화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낮은 바위들로 뒤덮여 있다.1959년 1월 옛 소련의 탐사선 루나 1호가 달 궤도 근접 비행에 부분적으로 성공한 것이 인류 달 탐사의 시작이었다. 2019년 4월 현재 러시아를 포함해 미국, 일본, 유럽, 중국, 인도까지 총 6개국이 달 탐사에 성공했으며, 달 궤도를 비행했거나 달 표면에 착륙한 우주인은 총 2 ... ...
- [화보] 세포vs 병원체 몸속 슈퍼히어로의 전투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손으로 그리기도 하죠.Q그림을 그리는 데 수학이 필요한가요?물론이에요. 세포의 각 부분에 얼마나 많은 분자를 넣을지 결정할 때 기초적인 기하학적 지식을 많이 활용해요. 부피와 표면적을 계산해야 할 때도 있고요. 그린 그림이 얼마나 실제와 유사한지 분석하기 위해 통계학도 활용하죠. Q화가가 ... ...
- 탐험┃러시아, 혼자서 할 수 없다, 협력하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최소 4대의 탐사선을 달에 보낼 계획이다. 루나 글로브의 임무는 달에서 가장 어두운 부분 중 하나인 보구슬라프스키(Boguslawsky) 분화구에 착륙해 탑재된 중성자 탐지기와 소형 레이저 분석기 등의 성능을 시험하는 것이다.다음 타자로 궤도선 루나 26호는 달 표면을 조사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향후 ... ...
- 오퍼튜니티가 미래의 로버에게 전하는 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오퍼튜니티처럼 금속 바퀴 6개로 활동하는데, 바퀴에서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온 부분인 그라우저가 깎여나간 거예요. 특히 왼쪽 가운데 바퀴는 마모가 심각해 유효 수명의 약 60%에 달했답니다. 이처럼 바퀴가 빠르게 마모된 건 무게 때문이에요. 큐리오시티의 무게는 899kg로 오퍼튜니티의 5배 ... ...
- 신을 쫓는 기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말아야한다. 실패를 하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교훈삼아 더 발전해야하는 부분이 동일하다. ▲Faces of CMS CMS의 얼굴들지난 25년간 LHC를 건설하고, 우주의 신비를 연구하기 위해 수만 명의 과학자와 공학자들이 거쳐 갔다. 그리고 지금도 그곳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