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대화다_홍영덕 교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서로 설명해주는 시간이 수업의 핵심이다. 학생마다 설명할
부분
을 정해 각자 맡은
부분
을 집중적으로 학습하게 한 뒤 학생들끼리 서로 설명하면서 의견을 교환한다. “학생들이 역동적으로 수업에 임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계획한 수업 방식입니다. 사실 수업 중에 가장 많이 배우는 사람은 ... ...
"흥미로운 곳에 길이 있다" 잉그리드 도브시 인터뷰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전했다. 웨이블릿 이론은 사진, 영상, 신호 등을 기본 조각으로 분리해 불필요한
부분
을 없앤 뒤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사진을 이루는 픽셀 중 원본을 크게 훼손하지 않을 만큼만 불필요한 픽셀을 제거하면, 화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용량을 줄일 수 있다. 그래서 허블 망원경이 ... ...
[사랑고민상담소] 25년차 솔로의 소개팅앱 성공전략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태도 중 어떤 점이 확고한 편인가요. 여러 주제를 같이 얘기하다 보면 공통으로 엮이는
부분
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게 남자친구의 속을 조금씩 들여다보는 것이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이 아닐까요 ... ...
영화 ‘샤잠!’으로 본 ‘핵인싸’의 심리학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지위란 우월감, 힘, 영향력 등과 같은 속성을 기반으로 합니다. 여기서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
은 지위입니다. 프리먼은 사람들과의 유대감 대신 슈퍼히어로의 친구라는 지위를 이용해 인기를 얻고자 했습니다. 이렇게 청소년기에는 지위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청소년기에 ... ...
[통합과학] 40인의 도둑이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따라 빠르게 흘러내릴 수 있답니다. 이처럼 용암이 잘 흘러내리면 대기와 접하는 겉
부분
이 먼저 딱딱하게 굳기 쉬워요. 동시에 안쪽의 용암은 계속 흘러내리죠. 그러다 시간이 지나며 화산에서 분출되는 용암이 점차 줄어들고, 굳은 용암의 안쪽이 텅 비게 된답니다. 이것이 바로 용암 동굴이죠. ... ...
수학과 물리학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다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그런데 문제는 여러 비눗방울이 접촉해 있는
부분
에서 발생한다. 얼핏 보기에 이
부분
은 표면적을 최소화한 형태가 아니다. 울렌백 교수는 비눗방울이 여러 개 합쳐진 비누거품 연구를 게이지 이론에 적용해 에너지를 최소로 하는 편미분방정식의 해의 존재성을 밝혀 비누거품의 형성 원리를 ... ...
[맛있는 수학] 도우의 변신은 무죄! 토르티야 피자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상황의 대처법은 모두 잘 알고 있을 거예요. 피자를 살짝 접으면 구부러졌던 피자 앞
부분
이 똑바로 펴진다는 걸 말이죠.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우리가 자연스럽게 했던 이런 행동이 바로 얇은 물체의 가장 기본적인 특성을 잘 보여줍니다. 피자 도우나 비닐봉지 같은 얇은 물체의 한쪽을 잡고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중국 최초 우주인 과학선생님 '왕야핑'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전략지원부대 소속 조종사였다. 과학 실험을 수행한 것은 나와 같지만, 바로 이
부분
이 필자와 왕야핑의 가장 큰 차이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는 어릴 때부터 우주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를 동경하고 별자리를 찾아보는 ‘우주 소녀’였다. 그러다 창천비행학교에 진학하게 ... ...
[섭섭박사 메이커 스쿨] 아크릴 램프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색칠해 예쁘게 꾸미기도 했답니다. 저마다의 방법으로 완성된 아크릴판을 전등
부분
에 꽂고 전등의 전원을 켜자 기자단 친구들이 그린 그림이 예쁘게 빛나기 시작했어요. 친구들은 서로의 조명에서 빛이 나는 광경을 보고 눈을 반짝이며 감탄했지요. 메이커 스쿨에 참여한 이범규 친구는 “새로운 ... ...
[식물 속 동물 찾기] 바퀴벌레처럼 강한 생명력! 쇠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홀씨를 날리는 ‘생식줄기’를 땅 위로 올려 보낼 거예요. 이 생식줄기 끝에 달린 머리
부분
이 뱀의 머리를 닮아 ‘뱀밥’이라고도 불리지요. 5월이 되면 생식줄기는 사그라지고 초록색 풀이 자란답니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