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기
부인
불법
부정행위
불일치
불인정
위법
d라이브러리
"
부정
"(으)로 총 1,21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자동차공업기술을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찌그러져 안전도가 낮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에 대해 자동차 3사의 관계자들은 한결같이
부정
한다. 즉,포항제철에서 사다 쓰는 차체의 재료인 강철이 국제수준이며, 프레스 용접 조립 등 관련 기술이 우수하므로 그럴 리가 없다는 얘기다.미연방자동차안전규제기준(FMVSS)에 엑셀이 통과했다는 사실 ... ...
우체국에서 정보센터로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같습니다. 모든 문명의 이기에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
적 측면이 있는 법이지요. 이와같은
부정
적 측면을 극복하기 위해 사생활 보호, 정보유출방지에 대한 기술적수단과 제도적장치라는 이중자물쇠를 생각할 수 있읍니다. 제도적장치로는 '전산망보급확장과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방지책을 ... ...
실전을 통해 익힌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이용할 수도 없으므로 앞의 방법들보다 더 많은 추론이 요구된다. 여기에 긍정적인 예와
부정
적인 예 두 종류 뿐 아니라 유사하긴 하지만 바로 그 개념 자체에는 맞지않는 '근사예(near-miss)'들을 제공함으로써 더 효율적일 수 있다. (그림1)에서 처럼 비슷하긴해도 올바르지 않은 근사예를 보여주어 ... ...
달은 45억년전 대충돌로 생겼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아폴로계획의 주된 목표의 하나는 달의 기원을 밝혀 내자는것이었다.종래의 학설모두
부정
돼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아폴로계획으로 얻어낸 해답은 아무것도 없었다.사람이 달에 착륙한뒤 달의 기원에 관한 세개의 학설이 나와 서로 경쟁했다. 그러나 천문과학자들은 달에서 가져온 물질을 ... ...
첨단산업의 첨단공해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예방의학자들과 건강운동가들이 중대한 노출 및 그 결과에 대해 경고하고, 회사측은
부정
하거나 자신들이 피해자라고 변명하고 있으나 실제상황에 대한 확실한 연구가 없다. 주요 화학물질에 촛점을 맞추어 과거에 노출되었던 근로자들의 건강이력을 추적하는 좀더 상세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 ... ...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너무나도 자명한 사실이다. 이처럼 엔트로피 법칙에 따른 결과들을
부정
하려 들면 중력
부정
의 상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이다.저엔트로피 세계관에서의 지배적인 윤리관은 에너지 유출을 극소화하자는 것이다. 과도한 물질의 생산과 소비를 지구상의 귀중한 한정자원을 복원할 수 없을만큼 ... ...
미생물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왔었다.'파스퇴르'의 공적그런데 프랑스의 '파스퇴르'(Louis Pasteur)는 당시의 자연발생설을
부정
하는 실험적 증거를 제시하고 미생물은 우연히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전에 존재한 미생물로부터 생긴다는 '미생물의 생명기원설'을 확립했다. 이어 그는 '여러 종류의 발효산물은 각각 특유의 ... ...
끝없는 미스테리 우주인과 UFO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장담(?)하고 있다. 나의 결론 흔히 지식층에 속한다는 사람들 가운데서 ET와 UFO에 대해
부정
적인 발언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것은 낡은 지식과 정보에 사로 잡혀 있는 가 아닐런지. 우리 지구인도 따지고 보자면 ET이고, 수많은 UFO를 날리고 있다는 것을 인식못하는 안타까움은 ...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대참사 안전관리 무시한 예측된 사고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불신이 번지면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원자력 산업계는 체르노빌 사고가 그들 업계에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다만 그 영향이 얼마나 심각할 것인가에 대해서만 의견이 다를 뿐이다.체르노빌 사고는 많은 오염물질을 바깥세계에 마구 뿌려 많은 사람들을 불안에 떨게 ... ...
한국의 원전은 안전한가 「통합적이고 완전한 안전대책」모자라다는 지적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절대적 안전성'을 보장할 만한 수준에 와 있느냐는 것이다. 미국의 경험을 볼 때 답변은
부정
적이다. 미국원자력위원회의 보고에 따르면 원자력 사고의 원인중 설계불량과 기기의 고장이 45%에 이르며 주목할 만한 사실은 사고의 원인조차 파악 못하는 경우가 원자로 사고의 20%를 점한다는 것이다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