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기
부인
불법
부정행위
불일치
불인정
위법
스페셜
"
부정
"(으)로 총 66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약자 혐오가 횡행하는 이유
2025.08.16
이후 노숙자들에 대해 ‘뭔가 잘못했기 때문에 저런 처지가 된 것’이라는 식의 내적,
부정
적 귀인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 시스템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기보다 약자들을 악마화하는 것이 더 쉽고 빠르기 때문이다. 약자를 비난하는 것만큼 ‘값싼’ 문제(적어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의 독립은 '행복'으로 가는 유일한 길
2025.07.26
털어놓고 소통하는 일은 적으면서 정신 건강에 있어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것에 대한
부정
적 인식은 더 많아서 많은 아시아인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한다. 물론 가정에서 핵심적으로 여기는 가치관과 주류 사회에서 여기는 가치관 사이의 대립으로 인해 갈팡질팡하는 것도 덤이다. 예를 들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슬픔 속에 숨겨진 행복과 감사
2025.07.19
사람들은 실제 그런 감정을 겪었을 때 몸이 스트레스 반응을 덜 보인다는 연구가 있었다.
부정
적 정서를 무조건 나쁘고 해로운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감정을 건강하지 않은 방식으로 해소할 것 같기도 하다. 인생은 짧고 우리가 사랑했던 것들은 언젠가 우리를 떠난다. 달리 말하면 누구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추억은 슬픔을 이기는 힘
2025.07.12
추억을 자주 떠올리고 추억함으로써 고인을 기린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부정
적인 곱씹기와 잠을 설치는 등의 스트레스 증상을 비교적 덜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아름다웠던 시간을 추억하는 행동이 감사하는 마음과 행복감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미룰수 없는 의대생·전공의 복귀…볼썽사나운 특혜 논란
2025.07.02
더 큰 피해를 막아낸 것은 의대생과 전공의의 적극적인 노력 덕분이었던 것은 아무도
부정
할 수 없는 사실이다. K-의료의 붕괴를 막아내기 위해 개인적 희생을 마다하지 않았던 의대생과 전공의의 복귀를 위한 제도의 일시적 유연화가 용납할 수 없는 특혜가 될 수는 없다. 의료계도 정부·국민과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우주에서 하찮은 존재"…너그러운 사회 만든다
2025.06.21
현상이 나타난다. 예전에 한 다큐에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사형수들에 대해 매우
부정
적인 시각과 태도를 보이지만 사형 집행일이 되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을 주거나 마지막은 가급적 편하기를 바란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죽음'이라는 생명체라면 다 무섭게 느껴지는 절대적인 마지막,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이재명 정부 출범…AI보다 '기초과학'이 더 절박
2025.06.04
'인공지능 3대 강국'을 보장하는 것이 절대 아니다. 21세기는 과학기술의 시대다. 아무도
부정
할 수 없는 명백한 진실이다. 인공지능이 21세기 과학기술의 전부라는 착각은 확실하게 버려야 한다. 남이 장에 간다고 우리도 따라가겠다는 식의 '추격형 연구개발 정책'을 확실하게 폐기해야 한다. 국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빛바랜 '스승의 날'의 우울한 풍경
2025.05.21
치욕적인 누명·오명을 벗기 위한 노력과 비용은 온전하게 교사의 몫이다. 법조계의
부정
청탁과 금품수수의 비리에서 시작된 2016년 9월부터 시작된 '김영란법'도 교직 사회를 강타했다. 강의 시간에 학생에게 캔 커피를 받은 교수가 김영란법 위반 신고 사례 1호였다. 담임교사가 생일 축하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때론 '불확실성이' 삶에 도움이 된다
2025.05.17
24시간 스트레스를 받고 살아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우리가 쉽게 긍정적 또는
부정
적 경험이라고 이름 붙이고 단정짓는 삶의 많은 경험들이 실제로도 그렇게 간단하게 완전히 좋거나 나쁜 경험인 경우는 많지 않다는 것이다. 그 사이의 어딘가 또는 전혀 다른 무엇인 경우가 의외로 많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어차피 저 사람과는 안돼"…
부정
결론 서두르는 이유
2025.04.05
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이런 경향을 보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관계적 신호를
부정
적으로 해석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즐거웠던 경험을 즐거운 기억으로 오래 저장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한다. 개인적으로는 모임을 피하고 싶을 때면 그 모임에서 즐거웠던 일들을 떠올려보거나 일단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