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기
부인
불법
부정행위
불일치
불인정
위법
스페셜
"
부정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적인 영역, 선 넘지 않기의 중요성
2023.12.02
넘고 있다는 느낌을 받으면 자신의 관계 만족도 뿐 아니라 상대방의 관계 만족도에도
부정
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대가 바라는 이상적인 친밀도와 자신이 바라는 이상적인 친밀도의 차이(예, 상대는 최대 10에서 9의 친밀도를 원하지만 나는 7을 원하는 등)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비판받으며 자란 아이, 자기 비난 키운다
2023.11.11
태도 -> 완벽주의적이고 스스로에게 가혹한 자녀 -> 자녀의 연인을 향한 낮은 신뢰와
부정
적인 태도”의 싸이클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스스로에게 높은 기준을 들이밀고 가혹한 사람들이 결국 자신의 소중한 사람들에게도 가혹한 기준을 들이밀며, 그 역시 자신과 타인에게 가혹한 사람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갖춘 민주화된 선진국으로 우뚝 일으켜 세운 것이 바로 과학기술이다. 아무도
부정
할 수 없는 명백한 역사적 진실이다. 세계 최고의 기술이 만들어지는 선진국의 연구개발 현장을 어렵사리 기웃거리던 ‘우리 과학자’들이 ‘추격형 국제협력’으로 이룩한 혁혁한 성과다. 세계 최고 수준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 행동에 '악의적 해석'하는 사람들
2023.11.04
부정
적 예언을 현실로 만드는 것이다. “역시 인간은 나빠’라고 생각하며 사람들을 더
부정
적으로 보고 더 열심히 오해한다. -> 상대방을 공격한다. -> 상대방으로부터 공격받는다. -> 다시 상대방을 오해한다”의 싸이클이다. ● 갈등을 잘 해소하지 못한다 상대의 행동을 가급적 악의적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정
적 생각을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2023.10.14
감정을 억누르는 것은 별로 좋지 않지만 감정에 대해 따져보는 시도는 중요한 것 같다.
부정
적 감정의 존재 이유는 어디까지나 우리가 안전하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잠재적인 위험 요소에 주의를 주게끔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어디까지나 감정에 먹히지 않되 그것의 메시지를 알아차리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뒷담화'의 사회적 순기능
2023.10.07
이해할 수 없는 우리는 자신이 쓴 색안경이나 오해로 인해 타인의 행동을 실제보다 더
부정
적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따라서 정의를 실현하겠다고 어떤 이에 대한 험담을 잔뜩 했지만 실상을 알고보면 내가 틀린 경우 또한 적지 않다. 때문에 많은 이들이 이미 가십을 어느 정도 걸러 듣는 편이기도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단어는 어떤 이미지인가. 주로 생물학적 ‘노화’와 연관되어 연상되므로 대부분
부정
적인 편이다. 사실 노인이라는 단어 자체에도 ‘노화한 사람’이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노인’의 뜻은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출생 후 어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했을지도 모르겠다. 연구자들은 많은 사람들이 이런 현실을 직면하고 분노와 절망 같은
부정
정인 감정을 느낀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실제적인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분노와 절망 외에 아직 무언가 할 수 있다고 믿는 희망과 통제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당장 내 작은 행동이 지구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둘러보면 '소중한 존재'가 있다
2023.09.09
평소 주변 사람들이 주는 사회적 지지에 무심했던 사람들은 도움을 받아도 이를 다소
부정
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보였다. 똑같은 사랑을 받아도 이를 내가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우리는 행복해 질 수도, 아니면 되려 불행해 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웨스트 버지니아대의 심리학자 제나 윌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곶감 냄새만 맡아도 속이 울렁거린다. 이 경우 맛과 냄새는 영양 정보가 아니라 관련된
부정
적 경험을 연상시키는 실마리로 작용한다. 음식물 알레르기 역시 조건화된 맛 혐오와 같은 구조의 반응이다. 먹었을 때 탈이 나게 하는 원인을 감지할 방법이 없는 상태에서 같은 음식물에 들어있는 특정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