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도와주시는 분들이 많아 그 부담을 덜 수 있어요. 덕분에 전 세계에서 모인 10명의 훌륭한
연구원
과 함께 논의하며 연구하고 있습니다. Q 수학이란 무엇인가요?한편으로는 맞추기 힘든 퍼즐 같지만, 나름의 아름다움도 있어요. 그래서 풀었을 때의 희열감이 크죠. 문제를 풀면서 수학자들끼리 많은 ... ...
[기후위기 연중기획] 자동차 기술로 기후위기 극복한다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독일의 공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벤츠는 1886년 1월 29일 베를린 임페리얼 특허사무소에 ʻ페이턴트 모터바겐’의 특허를 등록했다. 3륜 간이마차에 1기통 954cc 가솔린엔진을 얹은 세계 최초의 자동차였다. 최고출력 0.75마력, 최고속도 시속 16㎞로 말보다 힘이 약하고 속도도 느렸지만 ‘말없이 달리는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DGIST) 컴퓨팅 효율 러닝 연구실. 바닥에 놓여있던 손바닥만 한 로봇이
연구원
의 손을 쫓아 스스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자율주행 로봇이었다. 작은 크기의 로봇에서 복잡한 자율주행을 구현한 비결을 묻자 김예성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는 “뇌인지과학과 수학을 인공지능(AI)에 접목했다”며 ... ...
수콤달콤 놀이 연구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Part1. 차근차근 순서대로! 분수와 소수의 혼합 계산Part2. 혼합 계산 아이스크림 공장Part3. 수콤달콤
연구원
의 비법노트Part4. [놀이북] 수콤달콤 ...
[기획] 백신을 맞으면 마스크를 안 써도 되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발생하면 주기적으로 백신을 맞아야 해요. 이를 대비해 국제백신연구소의 송록 책임
연구원
은 “우리도 백신 개발을 포기하지 않으면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한페이지 뉴스]고출력 레이저로 거대 우주 자기장의 씨앗을 뿌리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예상보다 효율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한다는 뜻이다. 아치 보트 옥스퍼드대 물리학부
연구원
은 “은하단의 자기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난류에서 자기장이 어떻게 증폭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론과 시뮬레이션은 아주 작은 규모의 난류 운동만 예측할 수 있었지만, 이번 실험으로 큰 ... ...
컴퓨터가 무거워졌다? 데이터 무게의 진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데이터가 차지하게 될까요. 다행스럽게도 그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황 선임
연구원
은 “데이터의 무게 증가를 예측한 논문은 다양한 상황을 가정하기 위해 데이터양의 증가를 과대평가한 만큼 실제로 데이터 무게가 극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대신 데이터 증가에 따른 과도한 ... ...
[특집] 과학 담은 가드닝 비법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정화한다는 주장의 기원은 198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빌 울버튼 미국항공우주국(NASA)
연구원
은 우주정거장 환경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해독할 방법을 찾기 위해 연구하다 실내 식물이 포름알데히드, 벤젠 등 암을 유발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정화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2019년 미셸 웨어링 미국 ... ...
[논문탐독] 자연에 한층 가까워진 움직임 소프트 로봇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큰 편입니다. Q5. 로봇 연구자를 꿈꾸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한 마디자신이 꿈꾸는
연구원
의 모습을 그려보세요. 단순히 학위를 따고 박사가 되는 것이 꿈이 아니라, 박사가 된 뒤에 어떤 모습으로 살아갈지 고민하며 꿈을 키워 나가면 좋은 결과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본인의 연구를 ...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자연상수인 플랑크상수를 기준으로 삼았다. 이는 김 교수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에서
연구원
으로 재직하던 시절 지도교수였던 클라우스 폰 클리칭 교수가 주도한 결과다. 정수 양자홀 상태를 발견한 공로로 1985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클리칭 교수는 양자홀 상태를 관찰해 플랑크상수를 보다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