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미스의 탐구생활] 로봇 손 재난 현장 돕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더 강한 힘을 발휘해서 사람이 하기 힘든 일을 대신할 수 있어요.1월 20일, 한국생산기술
연구원
의 조정산 박사팀은 재난 현장에서 사용하는 특수 로봇을 공개했어요. 사람이 탑승하여 조종하는 이 로봇은 두 개의 로봇 손을 가지고 있어요. 왼손으로는 다양한 물체를 쥘 수 있고, 오른손으로는 ... ...
[한페이지 뉴스] ‘슈퍼지구’ 글리제 1132 b가 대기를 갖게 된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늘어났다를 반복하면서 내부에 마찰열이 발생한다. 마크 스웨인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연구원
은 “화산활동이 진행되는 지역은 앞으로 더 뜨거워질 수 있다”며 “(올해 발사 예정인)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을 이용하면 마그마가 실제로 방출되는 행성 표면까지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컴퓨터가 무거워졌다? 데이터 무게의 진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데이터가 차지하게 될까요. 다행스럽게도 그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황 선임
연구원
은 “데이터의 무게 증가를 예측한 논문은 다양한 상황을 가정하기 위해 데이터양의 증가를 과대평가한 만큼 실제로 데이터 무게가 극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대신 데이터 증가에 따른 과도한 ... ...
[특집] 과학 담은 가드닝 비법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정화한다는 주장의 기원은 198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빌 울버튼 미국항공우주국(NASA)
연구원
은 우주정거장 환경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해독할 방법을 찾기 위해 연구하다 실내 식물이 포름알데히드, 벤젠 등 암을 유발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정화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2019년 미셸 웨어링 미국 ... ...
[잡터뷰]BTS 랜선 콘서트 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경쟁력을 갖기 때문이다. 다양한 분야를 접하는 만큼 공부도 많이 해야 한다.이 선임
연구원
은 “평소 다양한 경험을 해보고 여기에서 느낀 불편함을 개선해 보는 습관을 갖고 이를 반영한 나만의 소프트웨어를 한번 만들어보길 권한다”고 조언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팁 Q1 ... ...
[수학뉴스] 화성 탐사로봇 속 비밀 암호 6시간 만에 풀렸다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암호를 풀기 시작했습니다. 동시에 애디타 발라지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연구원
등이 도전해 약 6시간 만에 비밀 암호를 해독하는 데 성공했죠. 퍼시비어런스의 낙하산에는 빨간색과 흰색의 무늬가 불규칙하게 배열돼 있는데, 해독 결과 빨간색 한 칸은 1, 흰색 한 칸은 0에 해당하는 ... ...
[Bridge] 음성 인식 AI에 꼭 필요한 너! 삼각함수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ETRI) 복합지능연구실에서 음성 인식 AI를 연구하는 박기영 책임
연구원
입니다. 음성 인식 기술은 다양한 서비스와 결합해 활용되고 있습니다. ETRI에서 개발한 AI펭톡은 음성 인식 기술을 교육 분야에 적용한 사례죠. AI펭톡은 여러분이 말한 영어 문장을 녹음하면서 동시에 인식합니다. 그리고 입력된 ... ...
[시사과학] 동물 학대 논란, 수족관 고래 타기 체험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나은 조치”라고 말했지요.하지만 아쉬움의 목소리도 있어요. 조약골 공동대표와 장수진
연구원
은 “수족관에서의 번식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고 지적했어요. 조약골 공동대표는 “수족관 내 번식을 금지하고, 궁극적으로는 바다 쉼터를 조성해 수족관에 사는 고래를 모두 돌려보내야 ... ...
[한페이지 뉴스]고출력 레이저로 거대 우주 자기장의 씨앗을 뿌리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예상보다 효율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한다는 뜻이다. 아치 보트 옥스퍼드대 물리학부
연구원
은 “은하단의 자기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난류에서 자기장이 어떻게 증폭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론과 시뮬레이션은 아주 작은 규모의 난류 운동만 예측할 수 있었지만, 이번 실험으로 큰 ... ...
[한페이지 뉴스] 살기 위해 몸통 잘라 버리는 갯민숭붙이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아닌 자신의 몸에 감염된 기생충을 제거하고자 몸통을 분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미토
연구원
은 “이 갯민숭붙이들은 녹조류로부터 엽록체를 뺏어 광합성을 해 에너지를 얻는 특성이 있다”며 “잘린 몸통이 오래 활동할 수 있는 이유는 이 독특한 특성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doi: 10.1016/j.cub.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