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뉴스
"
안
"(으)로 총 10,358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의 '코페르니쿠스'로 불린 홍대용
과학동아
l
2023.10.28
내용을 다룬다. 개념과 응용 문제를 차례로 소개한 셈이다. 그런데 주해수용은 그동
안
다른 수학서에 비해 수학 지식의 수준이 낮으며 서구 수학을 소개하는 데도 실패했다고 평가받아 왔다. 이런 주장을 하는 연구자들은 당대의 최신 서양 수학 지식이 집대성된 청나라 수학서 ‘수리정온’과 ... ...
[바꿔쓰자!과학용어] ③길항작용→대항작용…의료 부문 의약품설명서
동아사이언스
l
2023.10.26
분비하는 조직을 뜻하는 'gland'를 '선(線)'이 아닌 '샘'으로 변경해 권장용어로 제
안
하고 있다. 샘은 몸속에서 분비 작용을 하는 기관으로, 물이 솟아나는 곳을 의미하는 ‘샘’을 대신 사용하는 것이 뜻을 오해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선의 경우 '땀샘'으로 순화할 수 있다. ... ...
"항우연·천문연 우주항공청 직속화 '법제화'해야…설립 후 검토는 말장난"
동아사이언스
l
2023.10.26
예정'이라는 답변은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우주항공청
안
건조정위원회(
안
조위)가 설립 논의를 마무리하지 못한 채 23일 종료되면서 우주항공청의 연내 설립은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뜻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환경을 지키는 노력도 중요하다. 그러나 건강하고 깨끗하고
안
전한 삶을 보장해주는 기술도 함부로 포기할 수 없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등 ... ...
野 "전기세 못내 연구 중단 위기" vs 與 "연구 성과로 보여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0.24
24일 대전 ETRI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53개 피감기관 증인이 참석했다. 국정감사연합뉴스 제공 24일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열린 국회 과 ... 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래야 예산 감축
안
에 대해 '과학을 무시하냐' 라는 말이
안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 ...
"항우연·천문연, 우주항공청 직속 관할화 긍정 검토"
동아사이언스
l
2023.10.24
17일 열린 국회 과방위 국정감사. 연합뉴스 제공 우주항공청
안
건조정위원회(
안
조위)가 23일 별다른 성과없이 마무리된 가운데 24일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산하 기관 출연연구기관 및 4대 과학기술원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⑪풀어드립니다…사이버 보
안
동아사이언스
l
2023.10.2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편집자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가 어느 정도 진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우리 사회는 일본 후쿠시마 오 ... AI 기반 보
안
관제·자동대응 등을 골자로 한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10년 내로 자립화된 사이버보
안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 ...
우주항공청법
안
조위, 성과 없이 만료되나…조승래 위원장 "연장 힘들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10.23
5일 국회에서 열린 우주항공청 특별법 심의에서 조승래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우주항공청 설립의 근거가 되는 우주항공청 ... 개념‧설계연구를 맡고 항우연이 개발‧시범 등 세부 과제를 담당하도록 하는
안
등이 제시됐지만 양측의 합의를 이끌어내진 못했다 ... ...
미숙아 인공호흡기 언제 떼나...AI로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3
필요하지 않은 장점도 있다. 정 교수는 “인공호흡기를 쓰는 미숙아는 빨라도, 늦어도
안
되는 최적의 시점에 인공호흡기를 떼는 것이 중요하다”며 “발관 성공 가능성을 예측해주는 인공지능이 의료현장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해 예측모델을 개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 ...
저용량·고효율 RNA 백신 개발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3
규명한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며 “이 작용과정을 이용해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고
안
정성 및 고효율 단백질 합성이 가능한 mRNA 백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 9일 국제학술지 ‘핵산연구저널’에 발표됐다. 김윤기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KAIST 제공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