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스페셜
"
유전자
"(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체온을 올리면 건강에 좋은걸까
2020.01.14
있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연구자들은 체온조절중추인 뇌의 시상하부에서만 UCP-2
유전자
가 발현되는 생쥐를 만들었다. UCP-2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 분자인 ATP를 생산하는 대신 열을 발생하게 만든다. 그 결과 시상하부의 온도가 주위보다 약간 더 높다. 시상하부는 이를 바탕으로 적정 ... ...
'
유전자
가위 특허권 이전 논란' 김진수 IBS단장 검찰 기소(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주요 제품 개발 및 출시 과정에서 툴젠의 성장에 따른 수익을 일부 공유할 것"이라며 “
유전자
가위 특허 관련 논쟁을 마무리하게 됐다”고 밝혔다. 과학계와 지식재산권 전문가들은 두 주요 주체인 서울대와 툴젠이 대승적 합의를 이미 마친 상태고 현재 높은 가치를 평가 받는 기술이 기술 이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커피의 치매 예방 효과
2020.01.07
커피의 섭취량과 관련된
유전자
가 여럿 밝혀졌는데 카페인을 분해하는 효소 CYP1A2와 이
유전자
의 발현을 조절하는 AHR의 유전형이 큰 영향을 미친다. AHR은 커피에 들어있는 성분을 생체이물(xenobotic)로 인식해 이를 분해할 CYP1A2의 발현을 촉진한다. ‘인간분자유전학’ 제공 디카페인 커피도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
2020.01.04
9000년 전부터는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술을 담은 토기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무려 천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가 그 무렵에 진화했기 때문이다. 물론 그때는 술병도 술잔도 없었으니 땅에 떨어져 발효된 과일을 먹었을 것이다. 호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하나 발견했다. 지난 2015년 학술지 ‘뉴로이미지’에는 실린 논문으로, 서비골수용체
유전자
5개 모두 후각상피에서 발현하고 그 가운데 하나인 VN1R1은 헤디온이라는 향기분자를 감지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서비골기관이나 서비골뉴런이 없어도 서비골수용체가 후각계를 통해 기능할 수 ... ...
[이정아의 미래병원]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있어 사람 몸속에서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후 과학자들은
유전자
편집기술을 이용해 세포 표면에 알파 갈락토오스가 나타나지 않는 이종장기용 무균 돼지를 만들기 시작했다. 현재는 돼지의 장기를 원숭이에게 이식하는 동물실험과, 사람에게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 ...
난소암·자궁암 맞춤형 치료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37개 분자표적 약물을 각각 적용했을 때의 효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종양을 억제하는
유전자
인 P53의 변이 여부에 따라 난소암 치료에 쓰이는 표적항암제(PARP 억제제)의 치료 효과가 달라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P53에 변이가 있는 경우 PARP 억제제가 특별히 암 조직을 잘 억제했다. 연구팀은 PARP ... ...
골칫덩이 페트병, 의약·화장품 소재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쓰는 단위인 ‘몰(mole)’을 기준으로 비교한 것으로,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분자 100개를
유전자
변형 대장균이 먹고 카테콜 분자를 90.1개 내놓는다는 뜻이다. 주정찬 선임연구원은 전화 통화에서 “각각의 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을 소재 맞춤형으로 각각 개발했다”며 “다만 미생물 대사 ... ...
[인류와 질병]알레르기의 진화
2019.12.21
줄 수 있다. 자식을 낳지 못한 어린 나이에 죽기라도 한다면, 해당 표현형과 관련된
유전자
풀에서 급속도로 사라질 것이다. 하지만 앞서 말한대로 제법 많은 사람이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다. 이상한 일이다. 상당히 흔하고, 가족성도 높고, 어린 시절에 흔히 발병하여 자칫하면 죽을 수도 있는 ... ...
[주말 고고학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
2019.12.21
영국 옥스퍼드대의 생물학자인 칼로스 드리스컬은 약 10년 동안 전 세계의 고양이
유전자
를 수집했습니다. 그 결과 모든 고양이가 중동에 사는 ‘리비아살쾡이(위 왼쪽 사진)’의 자손이라는 점이 드러났습니다. 드리스컬은 아마 1만~1만 2000년 전 중동 어딘가에서 고양이가 사람과 처음 살기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