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유전자"(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 콜레스테롤과 감염, 그리고 치매2019.10.12
- 낮아서 엡실론 4 유전자의 이득이 적었을지도 모른다. 앞으로 시간이 지나면 엡실론 4 유전자는 점점 사라질지도 모른다. 감염은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는 세상이니, 득은 적고 실은 많다. 육식이 불러온 나비효과다. 그런데 육식의 시작은 또 다른 나비 효과를 낳았다. 바로 비만이다. ... ...
- 난소암 발병 새 원인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10.10
- 가장 많이 증가했다(75.7%). 문제는 난소암은 초기엔 특별한 증상 없는데다, 브라카(BRCA) 유전자에 변이를 가진 환자(10%)를 제외한 대부분(90%)은 발생 원인을 찾을 수 없어 치료가 어렵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서구화된 식습관이나 운동부족, 첫 출산의 늦음, 출산 횟수 감소와 모유수유 ... ...
- 박선숙 의원 "인보사·펙사벡 연구계획서도, 연구재단 협약서도 모두 엉터리"동아사이언스 l2019.10.10
- 박사’를 지명하고 1세부 연구를 담당하도록 기입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경영학 박사와 ‘유전자치료제 페시벡의 연구협약서’를 체결했다. 또 연구개발계획서에는 펙사벡이 간암에 대한 효능과 안정성이 인정됐다 주장했지만 펙사벡 임상시험은 미국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의 ‘무용성 평가’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2019.10.08
- 파란빛이 수면을 방해하기 때문이 아닐까. 사람은 초파리의 로돕신7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없지만(있다면 우리도 파란빛에 고통을 느껴 피할 것이다) 대신 망막에 있는 멜라놉신(melanopsin)이라는 수용체가 파란빛의 정보를 뇌의 일주리듬조절영역인 시각교차상핵(SCN)으로 전달한다. 파란빛이 ... ...
- 한국 찾은 노벨상 수상자들 "기초과학·젊은 연구자 지원 게을리 말아야"동아사이언스 l2019.10.08
- 록펠러대 교수는 국제화를 조언했다. 일명 생체리듬으로 불리는 ‘일주기리듬’ 조절 유전자 연구로 201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영 교수는 “미국과 유럽의 교류 덕분에 내 연구 분야도 발전이 가능했다”며 “한국 연구자들이 최근 활약을 하고 있지만 나만 해도 한국 방문이 처음이었다. 여러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산소 감지하는 세포 '분자스위치' 암 치료 새 장 열다2019.10.08
- 여기는 이이다. 누가 예상이나 했겠는가. 스웨덴 이름의 희귀 유전질환 폰히펠린다우의 유전자가 HIF의 조절자란 것을. 혼자 골방에서 연구했다면, 또 결과를 정해놓고 연구했다면 도저히 밝혀내지 못했을 일이다. 서멘자 교수의 연구실 앞에는 다음과 같은 아인슈타인의 명언이 붙어 있다. ... ...
- 노벨생리의학상 과학자들, 산소에 적응하는 세포 신비 밝혀 암치료 길 열다(재종합)2019.10.07
- HIF-1알파가 분해되지 못하고 세포핵 안에 쌓인다. ARNT와 결합해 저산소증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특정 DNA 부분(HRE)에 붙는다(1). 산소 농도가 정상적일 때는 HIF-1알파는 프로테아좀이 빠르게 분해시킴. 산소는 하이드록실기(-OH)를 HIF-1알파에 붙여서 조절한다(3). 그리고 VHL 단백질은 HIF-1알파와 복합체를 ... ...
- 노벨의학상 과학자들, 호흡 복잡성 규명하고 빈혈·암 치료 길 열어(종합)2019.10.07
- 점에서 수상자들의 업적은 의미가 크다”며 “현재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에도 HIF 유전자 발현을 적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현숙 교수는 “종양이 생기면 산소 투과가 안되면서 저산소증(Hypoxia)가 일어나는데 수상자들이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종양억제인자도 발견하는 등 성과를 냈다”며 ... ...
- 노벨상에 관한 아주 사소한 질문들동아사이언스 l2019.10.07
- 1만달러(약1100만원)정도이다. 메달 자체의 가치는 2013년 경매를 통해 가늠됐다. 2013년 4월 유전자(DNA) 이중나선 구조를 공동 발견한 프랜시스 크릭의 노벨상 메달과 증서가 200만달러(약24억)에 낙찰됐다. 1988년 중성자가 붕괴해 양성자와 전자로 변할 때 방출되는 중성미자의 정체를 밝힌 공로로 ... ...
- Wnt·자가면역질환·광유전학·HGP 등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누가 받나동아사이언스 l2019.10.07
-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역할을 밝혀낸 조안 스테츠 예일대 의대 교수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을 개발한 주역인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화학과 교수 등을 수상 후보로 꼽았다.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