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진공에서 항상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것을 빛이 움직인 시간으로 나누면 거리를 알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했다(시간 단위인 1초는 세슘 원자가 내놓는 미세파장 주기를 기준으로 정의했다). 질량의 기준으로 제안한 상수는 양자역학에 자주 등장하는 상수 중 하나인 ‘플랑크 상수(h ...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외판원 문제’를 푸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이는 n개 도시와 각 도시 사이 거리가 정해졌을 때 모든 도시를 한 번씩만 통과해 출발지로 돌아오는 가장 좋은 경로를 찾는 수학 문제다. 도시를 탑승 장소로 바꾸면 셔틀버스 문제가 된다. 학원이 탑승 장소를 입력하면 알고리즘은 가장 좋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예측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지요.하지만 라돈 농도를 측정한 거주지와 포항 사이의 거리는 약 260km였어요. 조승연 교수는 “이번에는 측정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어요.라돈 농도를 낮추는 가장 좋은 방법은 뭔가요 ... ...
- [과학뉴스] 격자로 알루미늄 접어 소음 차단벽 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확산시키는 원기둥 모양의 구조물을 배치했다. 시트를 접는 방식에 따라 원기둥 간의 거리와 각도가 달라지는 소음 차단벽을 만든 것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7분의 1 축소 모형 실험 결과, 새롭게 개발한 소음 차단벽은 접는 방식에 따라 소음 차단 효과가 달랐다. 공저자인 콘 웰 왕박사는 “격자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결과처럼 난자의 유전자가 정자의 유전자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정자와 난자의 물리적인 거리가 매우 가까워야 한다. 즉, 막이 사라지고 하나의 세포로 합쳐졌을 때에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크리스퍼가 정자의 변이 유전자를 자른 시점이 애매해진다. 정자와 함께 주입된 ...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에 비해 토론토연구센터는 토론토 시내에서 지하철로 약 30분 거리에 위치해 접근성이 좋은 편입니다. 주변에 요크대와 공원, 공항, 유대인들이 모여사는 마을이 있습니다. 유명한 과학박물관인 ‘온타리오 사이언스 센터’와도 차로 15분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작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계속 포보스 주변에 떠 있죠. 저 미사일들은 물리법칙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어요. 어느 거리 바깥에서는 보이지도 않고 탐지되지도 않습니다. 저런 질량을 가진 물건이 초속 수십 킬로미터로 날아가다가 저렇게 정지한다는 것도 불가능하고, 저 위치에서 저 자세로 계속 멈춰 있는 것도 말이 안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그리고 줄자로 미리 측정한 이순신 장군 동상의 중심부터 클리노미터 측정 지점까지의 거리와 측정 각도의 tan★ 값으로 동상의 높이를 구한다. tan★삼각함수 중 하나로 직각삼각형의 변의 비로 정의된다. 교과서에서 삼각비를 배우지만 실제로 활용할 기회가 없었던 학생들은 삼각비가 어떻게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몸 밖으로 나온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요. 이 위석들을 잘 연구하면 공룡들이 얼마나 먼 거리를 이동했는지도 밝혀낼 수 있지요. 이처럼 위석은 공룡의 식성뿐만 아니라 이동까지도 알아낼 수 있어 과학자들의 흥미로운 연구대상이랍니다.# 공룡 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예요. 그래서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하지만 맨틀 깊이에서 발생한 심발 지진이나, 대략 500km 이상 먼 거리에서 발생한 원거리 지진의 세기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P파나 표면파의 최대 진폭을 측정한 다음, 각각에 적합한 규모식을 사용해 지진 규모를 결정해야 한다. P파나 표면파를 사용한 지진 규모를 각각 ‘실체파 규모(mb)’와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