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하지만 맨틀 깊이에서 발생한 심발 지진이나, 대략 500km 이상 먼
거리
에서 발생한 원
거리
지진의 세기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P파나 표면파의 최대 진폭을 측정한 다음, 각각에 적합한 규모식을 사용해 지진 규모를 결정해야 한다. P파나 표면파를 사용한 지진 규모를 각각 ‘실체파 규모(mb)’와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고에너지 가속 입자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하전 입자를 매우 짧은
거리
에서 고에너지로 가속할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가속기의 크기를 현재의 1000분의 1로 줄이는 게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에 특히 효율적이어서, 전자를 기존의 가속기보다 약 1000배 큰 힘으로 가속시킬 수 있기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세 명의 수학자 조지 댄치그와 레이 풀커슨, 셀마 존슨이 미국의 49개 도시를 최소 이동
거리
로 도는 방법을 일반 계산기로 찾았지요. 이후 학자들은 이 방법을 이용해서 최적의 답을 구할 수 있는 도시 수를 늘려갔습니다. 1977년에는 120개 도시, 1987년 2392개 도시에 관한 최적경로를 알아냈지요. 199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외판원 문제’를 푸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이는 n개 도시와 각 도시 사이
거리
가 정해졌을 때 모든 도시를 한 번씩만 통과해 출발지로 돌아오는 가장 좋은 경로를 찾는 수학 문제다. 도시를 탑승 장소로 바꾸면 셔틀버스 문제가 된다. 학원이 탑승 장소를 입력하면 알고리즘은 가장 좋은 ... ...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방향을 틀면서 제주도와 남해안에만 간접 영향을 미쳤다. 적도에서 상대적으로
거리
가 먼 우리나라(서울 기준 위도 37도)는 지금까지 비교적 태풍을 잘 피해왔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해수면 온도가 올라가면서 태풍의 규모가 커지고 발생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어느 날 갑자기 ‘슈퍼 태풍’이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트리에스테는 유럽 물류의 중심지로 꼽히는 유명한 항구 도시입니다. 연구소에서 10분
거리
에 바르콜라라고 하는 해변 공원이 있어서 아드리아해의 풍경을 만끽할 수 있죠. 또 트리에스테의 명물인 미라마레 성(城)과 연구소가 산책로로 연결돼 있어 점심시간 연구원들이 즐겨 찾습니다 ... ...
[Career] 마음먹은 대로 전기 제어하는 마법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교류(AC) 방식으로 들어온 전기를 가정에서는 직류(DC) 방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먼
거리
에서는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송전탑을 따라 고전압으로 전류를 흘려보내는데, 변압기를 사용해 유연하게 전압을 바꿀 수 있는 교류가 유리하다. 반면 가전제품에 들어있는 반도체 칩은 주로 직류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그러면 빨간색 부분은 모두 4색으로 칠해지겠지요? 그 다음 파란색 행정구역끼리 서로
거리
2 이내인 것들을 보면 3색 이하로 칠 해진다는 것을 보입니다. 그럼 총 7색만 사용해서 지도가 칠해집니다. 베크너의 문제는 컴퓨터를 쓴 증명이 나온 직후에 컴퓨터를 쓰지 않은 증명이 나온 아주 특이한 ... ...
[에디터 노트] 셀링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Science)’라는 책에서 과학의 힘을 우러러 본 과학기자들의 태도와 새롭고 잘 팔리는 뉴스
거리
를 쫓는 언론의 속성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30년 전 그 비판은 지금 우리에게 여전히 아프게 다가온다. 우리 역시 과학기술계가 던져주는 장밋빛 미래만 무작정 쫓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이번 호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늘리면 사
거리
를 줄이고, 중량을 줄이면 사
거리
를 늘릴 수 있게 합의했다. 쉽게 말해 사
거리
에 따라 탄두중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결국 추진체의 크기와 성능은 제한한 셈”이라면서도 “트레이드오프가 사실상 의미가 없어진 만큼 궁극적으로 추진체 성능에 대한 제약도 해제될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