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인류 문명이 언제까지 존재할지 인구 증가와 기후 변화를 바탕으로 수학 모형을 세워 계산한 것이다. 이 연구에 따르면 천천히든 갑자기든 현 인류는 반드시 종말을 맞는다고 한다. 물론 그 전에 기후문제나 인구 문제를 해결하면 결과는 달라지겠지만. 어쨌든 지금은 가상일지라도 언젠가는 진짜 ...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포집한 미세먼지 질량을 직접 재거나, 베타선이 먼지에 흡수되는 양으로 질량을 계산하는 등 정확도를 최우선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다(과학동아 2018년 4월호 시사기획 ‘미세먼지 속으로’ 참고). 최근 미세먼지 예보에 민간업체들이 뛰어 들었다. 케이웨더는 2018년 12월부터 실시간으로 ... ...
- [수학뉴스] 수학이 본 ‘대박 영화’는?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각 점에 연결된 점의 수, 연결된 점들 중에 똑같이 많은 점에 연결된 점이 몇 개인지 등을 계산해 영향력을 분석했어요. 비슷한 방법으로 장르, 감독, 배우도 분석했지요. 그 결과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로 ‘오즈의 마법사(1939년)’, ‘스타워즈(1977년)’, ‘사이코(1960년)’가 뽑혔어요. 어벤져스에 ... ...
- 돼지 게임 전략? 수학으로 찾으면 되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이용해 최선의 전략을 찾는 데 도전했습니다. 돼지 2마리의 특정 조합이 나올 확률을 계산했고, 기댓값을 구했지요. 그 결과 패스 더 피그의 경우 한 순서 당 22.5점에서 멈추라고 밝혔어요! 돼지들이 서로 엎치락뒤치락하며 점수를 내려고 아등바등하는 모습 때문인지 사람들이 돼지를 던지는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스파게티 면 난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모형을 완성했습니다. 어떤 종류의 스파게티 면이든 정확하게 반으로 쪼개는 방법을 계산할 수 있게 된 거죠! 또한 이 모형으로 13년 전 오돌리와 노이커치가 발표했던 논문도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 보통 판매되는 24cm 길이의 스파게티 면은 250° 꼬인 상태에서 구부리면 된다고 하니, ... ...
- 레이저 쏘아 외계인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거예요. 연구팀은 레이저 빛의 세기가 어느 정도여야 외계 행성에서 감지할 수 있는지 계산했어요. 그 결과, 지름이 30m인 망원경을 통해 2MW 고출력 레이저를 우주로 쏘면 태양에서 4광년 떨어진 행성 ‘프록시마-b’에서도 감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또, 지름이 45m, 1MW라면 태양에서 약 3 ... ...
- 우리가 몰랐던 여성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활동했어요. 그중 한 명인 여성 수학자 캐서린 존슨은 아폴로 11호의 비행 궤도를 계산해내기도 했답니다. ● 리제 마이트너원소 중에는 불안정한 것들이 있어요. 이런 원소들의 원자핵에 양성자나 중성자를 쏘면, 더 작은 원자핵으로 갈라지면서 큰 에너지를 방출하죠. 이런 현상을 ... ...
- [과학뉴스] 사람보다 민첩한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로봇은 앞에 장애물이 있으면 걸음을 멈추고 위치와 높이를 파악해 얼마만큼 움직일지를 계산한 뒤 이를 뛰어 넘어요. 하지만 아틀라스는 움직이는 중에도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답니다. 덕분에 걷는 동작과 장애물을 피하는 동작에 끊김이 없지요. 뿐만 아니라, 한 발 점프로 40cm 높이의 장애물을 ... ...
- 특명! 태풍을 읽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만든 거죠.이 인공지능은 GOES-16 기상위성이 관측한 정보를 분석해 태풍의 강도와 풍속을 계산하고, 매시간 태풍의 경로를 예측해요. 이 정보는 홈페이지(하단 QR 코드 참조)를 통해서 공개되며, 태풍을 클릭하면 태풍의 예상 경로와 함께 풍속 예측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답니다 ... ...
- 내가 독도에 갈 확률은 얼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지지하며, 인류가 특별하지 않은 때에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로 인류의 지속 기간을 계산하기도 했지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코페르니쿠스 원리가 옳을까요? 인류 원리가 옳을까요? 가설1 여러분이 독도에 있을 확률은 1000분의 1이에요. 18세기 스코틀랜드 철학자 존 레슬리 역시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