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찍혀 있습니다. 바로 이 배경 속 별의 위치를 토대로 류구와 하야부사2의 위치와 속도를 계산했고, 류구에 도착하기 위한 최적의 궤도를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하야부사2는 발사 후 정확히 1302일 뒤인 2018년 6월 27일, 목표했던 류구 고도 20km 지점에 무사히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호핑’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오차를 나타낼 수 있는 식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 식에서 오차를 계산하려면 제타 함수의 함숫값이 0이 되는 지점을 전부 알아야 했거든요. …-6, -4, -2 같은 짝수인 음의 정수인 지점에서 함숫값이 0이 된다는 사실은 밝혔지만, 제타 함수의 정의역에는 a+bi 같은 복소수도 있기 ... ...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상수를 대입한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액체가 힘에 따라 어떻게 움직이는지 계산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 이 식을 집어넣으면 된답니다. 초콜릿은 어떻게 만들까? 초콜릿 분수 속 수학 난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은 운동에 관한 뉴턴의 제2법칙(a= Fm )을 흐르는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만큼 직선으로 도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벽에 반사돼 전자기기에 도달할 각도를 계산한다. 사람이 계속 움직이더라도 지속적으로 이를 탐지하고 실시간으로 안테나가 각도를 바꿀 수 있다.다만 이렇게 인체를 회피하는 과정에서 전송 효율은 다소 떨어진다. 안테나에서 전자기기까지 직선으로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세포와 바이러스 포획당시 빛의 힘을 측정하기란 ‘하늘에서 별 따기’였다. 이론적으로 계산은 할 수 있었지만 실험으로 힘의 크기를 측정한다는 게 매우 어려웠다. 애슈킨 연구원은 작은 입자에 빛을 쏴 입자가 가속하는 정도를 측정해 빛의 힘을 재는 방법을 떠올렸다. 이때 그가 선택한 빛은 ...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납작한 초코볼 모양으로케플러의 추측은 수학적으로 확실하게 증명됐습니다. 하지만 이 계산은 질서정연하게 차곡차곡 구를 채울 때 완벽하게 성립합니다. 실제로 초코볼을 채워서 상품을 포장할 때는 하나하나 정렬해서 쌓지 않습니다. 대부분 포장 용기에 무질서하게 와르르 집어넣게 되지요. ...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심도카메라가 들어가 있다. 심도카메라는 카메라와 피사체, 카메라와 배경과의 거리를 계산할 때 쓰인다. 다양한 거리 정보를 저장해 배경 흐림 효과를 훨씬 더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다. 김 교수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카메라를 조합해 스마트폰 하나로 다양한 상황에서 원하는 사진을 찍을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일어나는 수많은 상호작용과 이들 단백질 분자를 둘러싼 물 분자와의 상호작용을 계산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X선 결정학 등의 기법을 통해 단백질의 3차원적 구조를 알아내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그 구조를 안다고 해서 단백질의 기능을 예측할 수는 없다. 여기에 구조를 ... ...
- [Issue] ‘인스타 스타’ 아보카도, 환경파괴 주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7위, 꽤 높은 등수였다. 아보카도 100g을 운송하는 데에는 이산화탄소 10.37g이 배출됐다. 계산 과정과 결과를 검토한 최 연구원은 “수송 과정뿐만 아니라 아보카도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온실가스까지 고려하면 더 정확한 비교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도에서 재배하면 ... ...
- [Issue] 가계동향조사 ‘통계 오류’ 논란 쟁점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볼 수 있다.통계청은 2018년 1분기 소득 배율을 2017년 1분기와 동일한 연령 분포로 가정해 계산해도 5.81로, 처음에 발표한 5.95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더 나아가 2015년 인구센서스를 감안한 새로운 통계 표본을 쓰지 않고, 1인 가구의 비중 등을 조정해 비교해도 소득 불평등이 심화된 것은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