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단
대
교단
지휘대
단체
강단
구
d라이브러리
"
단
"(으)로 총 3,82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하워드 슈만과 스탠리 프레서는 두 집
단
에게 다음과 같이 물었습니다.그러자 두 집
단
모두 마지막으로 제시한 보기를 고르는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즉 첫 번째 질문을 들었을 때는 ‘지금처럼 해야 한다’를, 두 번째 질문을 들었을 때는 ‘더 어려워져야 한다’를 많이 선택한 것이지요. 이렇게 ... ...
[과학뉴스]이제 로켓도 재활용 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장치예요. 로켓은 추진체 역할을 하는 ‘1
단
’과 우주로 올려 보낼 위성이 실리는 ‘상
단
’으로 구성돼요. 지금까지는 추진체의 연료가 모두 소진되면 이를 바다에 버렸어요. 무게를 줄여 우주까지 올라가는 데 필요한 연료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지요. 이렇게 버려진 추진체는 재활용이 불가능해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남학생들이 즐겨하던 ‘팩차기’ 이야기를 꺼내자 그는 “나도 같이 했다”고 말했다.
단
체사진도 그들이 80년대에 촬영했던 빛바랜 사진을 참고해 찍었다. 잔디밭에 누워있던 그때 그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공기정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식당 앞 카펫에 몸을 기댔다. 그렇게 30년 만의 ... ...
[Tech & Fun] 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❷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上)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자리를 잡은 시기입니다. 죽은 이의 뼈는 우리에게 많은 정보를 말해줍니다. 뼈에서
단
서를 찾아내 살인사건을 해결하는 미국 드라마 ‘본즈’를 보신 분들은 이미 아실테지요.뼈의 일부만 있어도 키 알 수 있어 법의학 서적이나 인터넷을 조금만 찾아봐도 시체의 뼈를 이용해 사망자의 키를 추정할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학생들을 선으로 연결하면 그래프가 됩니다. 이제 그래프의 꼭짓점을 색칠하면 되는데,
단
조건이 있습니다. 선으로 연결돼 있는 두 꼭짓점은 같은 색으로 칠할 수 없는 것이지요. 이때 필요한 최소 색깔을 그래프의 ‘채색수’라고 하고, 이런 문제를 ‘그래프 색칠 문제’라고 합니다.그래프 색칠 ... ...
[지식] 세기의 매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체스 게임이다. 첫 번째 줄에 있는 8개 말의 위치를 임의로 바꿔 놓고 시작하는 것이다.
단
두 가지 조건이 있다. 두 개의 비숍 중 하나는 어두운 칸, 하나는 밝은 칸에 두고 킹을 기준으로 룩은 양쪽에 하나씩만 있어야 한다. 이 때 만들어질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총 960개라서 피셔960이라고 이름 붙였다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측정할 수 있다고요?”“물론 해안선의 일부분이 전체와 완전히 똑같지는 않으니까 어떤
단
위의 자로 재느냐에 따라 결과가 얼마든지 달라져. 리아스식 해안선처럼 요철이 심한 해안선은 굴곡이 심할 경우 긴 자로는 길이를 세밀하게 잴 수 없어. 그래서 듬성듬성하게 잴 수밖에 없고, 측정된 값도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
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수중시체는 하나의 생태계다. 물에 들어간 순간부터 수많은 수중생물들이 시체를 찾는다. 이들 생물의 생태를 연구해 사건이 일어난 일시나 환경 등 수사의
단
서를 얻는 것도 ... 나온 수중과학수사Interview_“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
서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만들지 않는 ‘유전자조작 커피나무’를 만들려는 시도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걸음마
단
계다(커피는 실험실에서 조직 배양이 어렵기로 악명 높은 식물이다). 최근에 각광받는 유전자 가위 기술이 발전하면 언젠가는 맛있는 디카페인 커피를 마실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 ...
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가장 포괄적이고 상세한 이론이다. 외계 지적생명체가 존재한다면, 그들에게 건네 줄
단
하나의 이론도 표준모형일 가능성이 높다. 일상에서 우주 깊은 곳까지 설명하는 표준모형을 A부터 Z까지 상세히 마스터해 보자. 그리고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미래의 물리학이 무엇일지도 점검해 보자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