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으)로 총 3,820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보어와 에르빈 슈뢰딩거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렇다면 표준모형을 상징하는 인물을 단 한 명만 꼽으라면 누구를 꼽을 수 있을까.가장 최근에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은 아마도 ‘힉스 입자’의 주인공인 피터 힉스 영국 에든버러대 명예교수일 것이다. 하지만 그에 앞서 ‘표준모형의 ...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겪고 꿈꾸었던 이야기를 재료로 한 꿈이야. 시카고 왕국, 페로 공화국, 살리에리 수도단, 파리 공동체, 카히날리이 바다제국 모두.”“글루글로스는?”“글루글로스의 절반은 5500만 년 전에 처녀자리 A 은하라는 곳에서 존재했던 문명의 꿈 속에서 태어났어. 나머지 절반은 12만 년 전 안드로메다 ... ...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여기가 어디지?”단이 눈을 떠보니 낯선 곳이다.“으으, 여기가 어디지? 저건 뭐지?”정신을 차리고 고개를 들어 주변을 둘러봤다. 눈앞 ... 쳐다봤다. 문제 속에 있는 죄수들은 단을 조롱하듯 더 요란하게 움직이고 있었다.과연 단은 정확한 정답을 맞혀 내시를 구할 수 있을까?일러스트 : ... ...
-
- 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가장 포괄적이고 상세한 이론이다. 외계 지적생명체가 존재한다면, 그들에게 건네 줄 단 하나의 이론도 표준모형일 가능성이 높다. 일상에서 우주 깊은 곳까지 설명하는 표준모형을 A부터 Z까지 상세히 마스터해 보자. 그리고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미래의 물리학이 무엇일지도 점검해 보자 ...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6자, 즉 1.8m입니다. ‘자’는 팔뚝에서 손가락 끝까지 길이인데, 약 30cm입니다. 하지만 이 단위는 왕마다 제각각이었는데, 세종대왕 때는 1칸을 8자(2.4m)로 정했고, 그 전에는 1칸이 11자(3.3m)였습니다.세종대왕 때를 기준으로 1칸은 2.4m이므로 방 1칸의 넓이는 2.4m×2.4m=5.76m2입니다. 1평이 약 3.3m2이므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해결하기 위해 한때는 쥐를 위한 가상현실 기술을 도입하기도 했다. 우선 광케이블을 단 쥐를 조그만 공 위에 고정시키고, 움직이는 방향에 맞춰 눈앞의 화면이 바뀌는 방식이다. 쥐는 공 위에 선 채로 미로를 찾을 수 있지만 새로운 실험을 위해 매번 프로그램을 다시 짜야했다.최근에는 아예 ...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과학자들은 이중 큰 벼슬을 가진 종류를 수컷으로 보고 있다.이렇게, 진화한 익룡의 식단 변화는 자신들에게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공룡시대를 대표하는 날짐승인 익룡이 비행능력이 아닌 걷는 능력과 식욕 때문에 진화했다니, 역설적이다 ...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원리를 검증할 수 있었고, 두 교수는 2008년 노벨물리학상을 탔다.2010년 이후 운영이 중단된 KEKB는 2018년 재가동을 목표로 현재 가속기와 검출기 개선 작업을 하고 있다. 새로 시작될 벨II(BelleII) 실험에서는 본격적으로 표준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학의 실마리를 파고들 계획이다. 벨II 실험 계획 ... ...
-
- 기후변화의 비극 환경난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국민 다수가 이슬람교 수니파에 속하거든요. 여기에 이라크에서 등장한 수니파 무장 단체인 이슬람국가(IS)까지 시리아 동부 지역을 점령하면서 시리아내전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어요. 그 사이에서 25만 명 이상의 힘없는 국민들만 목숨을 잃고 있지요.그런데 올해 3월, 미국 콜롬비아대 리처드 ... ...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수상 연구를 보면 매우 엉뚱하고 황당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하지만 이런 연구들이 단순히 재미만 있고 쓸모없는 것은 아니에요. 엉뚱한 상상과 호기심은 과학 연구의 밑거름이 될 수도 있거든요.지난 2000년 공중부양 개구리 연구로 이그노벨상을 받은 과학자가 있어요. 주인공은 안드레아 가임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