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2 NT · BT · IT · ST 필수 장비로 등극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미치는 여러 방사선 중 제일 중요하게 고려되는 입자는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수십-수
백
MeV의 양성자다. 지상에서 이 정도의 양성자를 얻으려면 가속기가 필요하다. 실제로 우주환경 재현 실험은 세계적으로도 소수의 대형 양성자 가속기를 보유하고 있는 연구기관들에서만 가능하다.국방 - ... ...
거대한 도시 실험실 에든버러 사이언스 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대중공연 담당자 게일은 “올해는 도심 곳곳에 마련된 행사장에서 1
백
여가지의 다채로운 과학축제가 벌어지며, 특히 어린이를 위한 행사를 많이 준비했다”고 말했다.어린이를 위한 과학행사는 에든버러의 어셈블리홀에 모두 모여 있었다. 50여 부스에 마련된 과학전시장은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에 ... ...
수
백
년에 한번 찾아오는 태풍 발생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거라고 장 박사는 말했다. 미 볼더 기상연구대학연합 대표인 기상학자 안데스 박사도 몇
백
년에 한번적도 근처에서 발생한다는 점에서“태풍 바메이는 매우 흥미롭고 드문 현상”이라고 동의했다 ... ...
인간형 로봇으로 후끈 달아오른 일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복부에 내장된 무선 랜 장치를 이용해 비상사태를 알리기까지 한다.3천7
백
70만달러(약 5
백
억원) 규모의 ‘인간형 로봇 프로젝트’(HRP, Humanoid Robotics Project)를 추진하는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는 ‘HRP-1S’와 ‘HRP-2’라는 인간형 로봇을 선보였다. HRP-1s는 혼다의 2족 보 ...
로켓 원리 밝힌 치올코프스키 논문 1
백
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1957년 옛소련의 스푸트니크)부터 시작됐다. 그리고 다시 그의 놀라운 논문이 발표된지 1
백
주년이 되는 2003년. 그의 구상 중 많은 것이 실현됐지만 아직 많은 것은 성취되지 못한 채 남아있다. 하지만 우린 그의 희망처럼 지구라는 요람에 머물지 않고 끊임없이 우주를 향해 도전할 것이다. 더이상 ... ...
① 나노 세계의 전투생명체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최근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가 널리 퍼지면서 바이러스에 대한 관심이 상당하다. 사실 인류 역사를 되돌아보면 이번처럼 바이러스가 큰 문제 ... 일이지만 감염증의 치료법은 더욱 힘들다. 이번 사스바이러스처럼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하면
백
신 개발에부터 힘을 쏟아야 한다 ... ...
1 수소 원자핵을 빛의 속도로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1960년대 초부터 가속기의 개발 역사는 시작됐지만 아직 시작 단계이다. 하지만 이제 1
백
MeV의 양성자 가속기를 개발하려 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와는 달리 보다 많은 양의 가속된 양성자 생산(초당 10경개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어, 앞으로 많은 응용 분야에의 활용이 예상되고 있다 ... ...
4 원자 단위로 물질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단
백
질 동역학에 관련된 에너지와 크기가 아주 비슷하다. 때문에 중성자 산란은 단
백
질 동역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최근 중국도 중성자 시설 건설할 계획이렇듯 중성자는 기존 재료가 갖는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기능을 갖는 재료를 합성하는 등 산업적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 ...
지구에서 자기장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데이비드 케리지 박사는 지구 자기장의 세기가 1
백
년에 5% 정도 감소한다는 점을 명
백
하게 발견했다고 주장한다. 자기장 세기의 이런 감소는 곧 지자기 역전이 시작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증거라는 얘기이다. 그렇다면 영화 속의 이야기가 미래에 현실화될 수도 있다는 것일까.고지자기 기록을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이 미물을 2001년 8월 정년퇴임을 할 때까지 35년 간 연구했다.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진 1
백
86종의 한반도 톡토기 중 77종과 외국산 11종, 그밖에 낫발이 곤충 2종 그리고 좀 2종 등 합쳐서 92종은 그가 세계에서 처음 발견해낸 신종들이다. 그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세계 수준의 계통분류학자인 것이다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