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스 정체 둘러싼 미스터리 3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1. 사스 원인 바이러스는 여럿이다?사스가 변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됐다는 WHO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사스가 다른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했을지 ... 전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일례로 1913년 천연두에 걸린 한 남성이 열차에 탑승, 모두 1
백
여명의 승객들에게 천연두바이러스를 퍼뜨렸다 ... ...
우주비행사 되는데 자연과학자 유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시스템이 고장나거나 나쁜 상황에 빠지는 시나리오도 재현할 수 있다. 총 6천8
백
개의 시나리오가 가능하다고 한다. "우주비행사는 처음부터 모든 것을 각오하면서 우주비행에 임한다. 이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더 중요하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사람이 우주에 가는 것은 ... ...
가장 멀리 있는 블랙홀 무게 밝혀져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오래된 천체로 거대한 블랙홀을 포함한 은하다. 퀘이사 중심의 블랙홀은 지구로부터 1
백
30억광년 떨어져 있는데, 이는 현재 지구에서 보이는 블랙홀이 1
백
30억년 전의 모습이란 얘기다.연구팀은 블랙홀과 퀘이사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블랙홀은 지구의 1천조배, 즉 태양의 3 ... ...
살해 시기와 장소 밝혀내는 동위원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얼마나 오래됐는지 밝혀왔다. 하지만 탄소-14는 반감기가 5천7
백
60년이므로 몇십년 또는 몇
백
년처럼 가까운 과거의 연대 측정에는 사용될 수 없다.블랙 박사는 반감기가 각각 22년과 1
백
34년인 납과 폴로늄을 이용했다. 납과 폴로늄 동위원소는 음식물이나 호흡을 통해 체내에 흡수된다. 따라서 이를 ... ...
설사 걱정 없는 우유 특허 획득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담는데 쓰는 미세캡슐은 지방 성분으로 만들어졌다. 캡슐 크기가 머리카락 굵기의 1
백
분의 1에 불과할 정도로 작아 우유를 먹을 때 캡슐을 느끼지 못한다.곽 교수는 “그동안 유당분해효소가 없는 사람을 위해 ‘소화 잘되는 우유’가 국내외에서 나왔지만 이는 미리 효소를 넣어 유당을 분해한 ... ...
핵가족 선호하는 도마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산다는 것은 알았지만 각각의 개체가 어떤 집단에 속하는지는 몰랐다. 연구팀은 도마뱀 1
백
15마리를 잡아 각각의 개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바코드를 부여했다.그리고 도마뱀을 3년 동안 길렀다. 일부 도마뱀은 고립돼 생활했지만 전체의 72%는 집단에서 0.5m 이상 벗어나지 않으면서 안정된 사회적 ... ...
2 살상력 못지 않은 환경재앙 유발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바스라 상공에서 사용됐다고 의심되는 공중폭발 대형폭탄(일명 MOAB)은 폭발시 반경 5
백
m를 파괴한다. 이 정도의 위력이면 주변 생태계는 소형 핵무기를 맞은 것처럼 초토화될 수 있다. 월남전에서 쓰인 네이팜탄은 단순히 화재를 유발했지만 이런 폭탄들은 순간적으로 주변 산소를 모두 끌어들여 ... ...
우주 연못에서 뛰쳐나온 올챙이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올챙이가 하늘에서 내려와 변신한 모습은 아닐까. 해부루의 정성에 감복해서 말이다.1
백
30억년 역사 보여주는 6천개 은하UGC10214의 정체는 사실 우리은하처럼 수천억개의 별들이 모여 있는 은하다. 은하는 모양에 따라 타원은하, 나선은하, 불규칙은하로 나뉜다. 지구에서 용자리 방향으로 4억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수
백
종의 DNA 서열이 이미 밝혀졌거나 지금 이 순간에도 해독되고 있다.지난 2000년 6월, 미
백
악관에서 인간 유전자 지도의 초안을 발표하는 자리에 참석한 왓슨은 “50여년전의 발견이 이렇게 큰 파장으로 빨리 다가올 줄은 몰랐다”며 “우리는 신이 인간의 생명을 창조하면서 사용한 언어를 배우기 ... ...
① 메타게놈이 가져온 DNA 연구 혁명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프로테오로돕신’(proteorhodopsin)이라는 유전자를 발견했다. 이 유전자가 만드는 단
백
질은 인간의 로돕신과 고세균의 박테리오로돕신과는 사촌뻘에 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드롱 박사팀은 프로테오로돕신이 박테리오로돕신과 같이 광합성 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비록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