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금화조는 알에게 노래로 말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불러 준 거예요.일리 : 나에게도 노래를 가르쳐 주지 않을래?금화조 : 연구팀은 알 속
세포
들이 분열하는 과정에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DNA가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부모가 노래로 경고하는 거라고 추측했어요. 자식을 걱정하는 마음이 담긴 노래인 거죠. 연구팀은 금화조의 특별한 노래가 ... ...
[헷갈린 과학] 가재 VS 랍스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손상되면
세포
가 더 이상 나뉘지 않고 그 능력을 잃게 돼요. 이렇게 몸을 구성하는
세포
가 망가지면 결국 노화와 죽음이 닥치게 되지요.그런데 독일 키엘대학교의 병리학 및 응용암연구센터의 연구 결과, 랍스터는 텔로미어의 손상을 막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어요. 지금껏 잡힌 랍스터 중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노란 바나나의 색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변한답니다.반면 바나나를 옷걸이에 걸어 놓으면 바나나가 눌리지 않아요. 덕분에
세포
가 덜 손상돼서 신선한 상태로 더 오래 보관할 수 있어요. 노란색도 더 오래 지속된답니다.독자 친구들도 실험하는 모습을 홈페이지에 올려 주세요. 추첨을 통해 잡지에 사진이실리는 기회와 ... ...
[가상인터뷰] 파킨슨병을 물리칠 인공 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중뇌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은 사람의 혈액에서 얻은 줄기
세포
를 이용해 임신 중기 태아의 중뇌와 비슷한 2mm 크기의 중뇌 오가노이드를 만들었답니다. 바로 저예요. 연구팀이 중뇌 오가노이드를 관찰한 결과, 실제 중뇌에서 만드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 ...
[쇼킹 사이언스] 바다 속에서 별이 반짝반짝~! 야광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충격을 받으면
세포
막이 휘어지면서
세포
막의 전기적인 성질이 바뀌게 돼요. 그러면
세포
안에 있던 야광물질 주머니 안으로 수소 이온이 들어가게 되지요. 그 결과 수소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서 야광물질이 빛을 내기 시작한답니다.이때 신틸론 안에서 수소 이온 농도에 반응해 빛을 내는 물질은 ... ...
[과학뉴스] 초소형 가오리 로봇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로봇에는 약 20만 개의 심장근육
세포
가 들어 있어요. 그래서 이 로봇에 빛을 비추면 근육
세포
들이 순서대로 수축하며 지느러미가 파도 모양으로 움직이지요. 마치 진짜 가오리가 헤엄을 치는 것과 비슷하답니다.박성진 박사는 “빛으로 근육 움직임을 조종하는 기술을 이용하면 빛으로 움직이는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조절해 몸 색깔을 바꾸지요. 붉은색 산호 사이에 숨으려면 빨간 색소가 들어 있는 색소
세포
들의 크기를 쭉 늘리는 거예요.몸 색깔을 재빨리 바꿨지만 천적에게 들키고 말았다면? 문어의 다음 전략은 먹물 뿜기예요. 먹물의 주성분은 ‘멜라닌’이에요. 멜라닌은 흑갈색을 띠는 색소로, 사람 피부나 ... ...
[가상인터뷰] 찌릿찌릿~, 전기뱀장어가 공격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일으키기 때문에 다른
세포
에 비해 많은 양의 전기를 만들 수 있지요. 또한 각각의 전기
세포
가 직렬로 연결돼 있어서 몸에서 나오는 전기를 모두 합쳐 높은 전압을 만들 수 있답니다.일리 : 왜 물 밖으로 뛰어오른 거니?전기뱀장어 : 전기뱀장어는 보통 물속에서 전기를 뿜어 먹이를 찾아요. 그런데 ... ...
[과학뉴스] 간지럼 느끼는 뇌 부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느낀다고 밝혔다.연구팀은 쥐의 대뇌피질에 전극을 꽂고 간지럼을 태우면서 신경
세포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촉각을 담당하는 뇌 영역인 체감각피질이 활성화됐다. 또 직접 간지럼을 태우지 않고 이 부위에 전기 자극을 주자 쥐가 간지럼을 느낄 때 낸 소리를 똑같이 냈다.마이클 브렛 교수는 ... ...
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이루는 모습이나
세포
분열에서도 프랙탈을 볼 수 있다. 특히 암
세포
는 주변에 있는 정상
세포
와 프랙탈 차원이 다르고, 표면에 미세한 프랙탈 패턴이 나타난다. 이를 활용하면 암을 초기 단계에서 진단할 수 있을 전망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프랙탈 의학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