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수 있기 때문이다. 법곤충학의 경우 곤충의 종과 성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곤충을 배
양
하고 유전자 검사를 진행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곤충이 접근하기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서 사망하거나 부패가 너무 많이 진행돼 애벌레가 없어 법곤충학을 적용하기 어려운 시체도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질병을 효율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한국인 50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와 서
양
인의 유전체 표준(GRCh37)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는 2018년 4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공개됐습니다. doi:10.1038/s41598-018-23837-x 현재는 한국인 1만 명 이상의 유전체를 해독하는 ‘울산 만 명 게놈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예를 들어 의료 데이터의 경우 각 숫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없고, 데이터의
양
도 무척 많죠. 그래서 인공지능 연구는 협업이 중요해요. 전공이 다른 여러 연구원들이 서로 모르는 부분을 조금씩 채워가며 일을 해야 하죠. ● 가장 필요한 능력은? 김 기자 : AI 연구원을 꿈꾸는 청소년에게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192개 논문을 분석해 도시 개발로 생물 서식지가 분리돼 새로운 종이 생기는 등 인간이 다
양
한 진화 과정에 영향을 끼쳤다고 발표했지요. 예를 들어, 우연히 런던 지하철에 들어간 모기는 기존 집모기와 분리돼 살면서 겨울에 잠들지 않는 새로운 종이 됐답니다. ● 후보 6 정한길 기자 - 손가락 ... ...
[가상인터뷰] 웜뱃의 주사위 모
양
똥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신선한 재미를 주고 있나 봐. 웜뱃 똥의 비밀을 밝혀낸 미국 조지아공과대학 패트리샤
양
박사는 “자연에서 이렇게 별난 것은 본 적이 없다”며 “육면체를 만들기 위해 거푸집을 이용하거나 잘라내는 방식 이외에 세 번째 방법을 알게 된 것”이라고 말했단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수호와 채윤이의 마지막 미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위험에 빠뜨려서 미안하다, 얘들아.”“우리가 탈출에 성공했군요? 빨간 구슬 4개는
양
성자였어요!” 이모가 고개를 끄덕였어요. 알고보니 게임을 만든 사람은 이모였어요. 아저씨는 게임 속에서 진화한 인공지능으로, 아이들을 속여서 게임에서 탈출하려다 실패한 거죠. “이 게임을 ... ...
Part 2. 열기구에서 이온비행기까지, 비행기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양
극에 있던 질소 기체가 전자를 잃고
양
이온으로 변해요. 질소
양
이온은 비행기 앞쪽의
양
극에서 뒤쪽의 음극으로 이동하며 주변의 공기를 뒤로 밀어내는데, 이 공기의 움직임이 ‘이온풍’이에요. 비행기는 이온풍의 반작용으로 앞으로 나아간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온풍 추진 비행기는 1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3호
대부분의 전력은 교류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교류 전력 케이블을 이용하면 중간에 새는
양
이 많아 30~50km가 넘는 지역까지 전력을 보낼 수 없다는 게 문제지요. 이를 위해 과학자들은 직류 형태로 전력을 보낼 수 있는 HVDC 케이블을 만들고 바닷속에 설치할 수 있는 ‘해저 케이블’ 기술을 개발하고 ... ...
[가상인터뷰] 나방의 생존 전략은 ‘스텔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3호
에너지의
양
이 줄어들지. 일리 : 또 다른 방어 전략이 있니? 나방 : 응. 우리 나방들은 다
양
한 방법으로 박쥐의 수색을 피해. 예를 들어 ‘긴꼬리산누에나방’과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은 긴 꼬리를 이용한단다. 꼬리를 팔랑거리면서 박쥐의 초음파를 교란하는 식이지. 또 불나방과 나방들이나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3호
곳이든 빠르게 갈 수 있게 됐어요. 하지만 비행기는 한 번 운항할 때 옮길 수 있는 화물의
양
이 적어요. 그래서 전세계 화물 운반의 90% 이상이 선박을 통해 이뤄진답니다. 이처럼 배가 많이 쓰이다 보니 배가 일으키는 환경 오염도 중요한 문제로 주목받았어요. 배는 보통 ‘벙커C유’라는 기름을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