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불이 지나간 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화학물질이 들어 있어요. 테르펜은 불에 잘 타는 성질을 지녔지요. 강원대학교 화학공학연구소 박영주 연구원은 5일 이상 비가 오지 않은 강원도 산에서 참나무와 소나무를 채취해 실험실에서 태워 봤어요. 그 결과 참나무는 325℃에서 발화한 반면, 소나무는 이보다 낮은 285℃에서 발화했지요. 또 ...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유전체 분석을 위한 고성능 슈퍼컴퓨터를 필요하면 언제든지 쓸 수 있다는 것을 연구소의 가장 큰 장점으로 꼽았다. 그에게 지치지 않고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는 비결을 물었다. 그러자 “목표에 집중하는 것”이라는 답이 돌아왔다. 어떻게 하면 하고자하는 일을 할 수 있을까에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바라고 응원한다. 조광래 1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90년대 후반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 책임자를 맡았다. 2014 ... ...
- [매스미디어] 의사 요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영상을 깨끗하게 만들어 진단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딥러닝 기술을 사용해 CT 영상을 학습시키고, 영상에서 필요 없는 부분들을 제외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또 CT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만들어 진단에 도움을 주고 있다.수학은 질병의 ...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에너지를 아껴야겠다는 생각에 이중창, 쿨루프 등의 아이디어를 냈어요. 우리 연구소도 족보가 있죠? Q 그래서 옥상에 흰 페인트를 많이 칠하셨나요?2014년에 한 업체에서 페인트를 후원 받아 옥탑방이 있는 옥상을 칠하기 시작했어요. 옥탑방이 여름에 진짜 덥거든요. 이후 언론에 알려지며 ... ...
- [인터뷰] 박형주 아주대 총장 - 연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국내 유일의 수학 연구소를 이끄는 행정가로, 그리고 다시 대학 총장으로 변신한 사람이 있다. 바로 박형주 아주대학교 총장이다. 박 총장은 미래의 인재는 ‘연결 지성’을 갖춘 사람이라고 말하며 아주대를 이끌고 있다. 연결 지성이란 대체 무엇일까? 연결 지성을 갖춘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요 ...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려는 노력이 전 세계에서 이뤄지고 있다. 일본 도호쿠대 유체과학연구소 연구팀은 2016년 암모니아만을 연료로 이용한 가스 터빈 발전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일본 기후대 화학및생체분자과학과 연구팀과 호주연방과학원 연구팀은 각각 2016년과 2018년 암모니아에서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타당한지 과학적으로 예측할 방법이 현재는 없다. 압둘라예 디아바테 아프리카 보건과학연구소(IRSS) 책임연구원은 “GM 모기를 찬성하는 측도, 반대하는 측도 모두 생태계가 어떻게 변할지 예측한 자료를 갖고 있지 않다”며 “과학 연구를 통해서도 이후를 예측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말했다. ... ...
- [수학뉴스] 수학자 앨런 튜링, 50파운드 지폐에 새겨진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밝혔습니다.튜링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정부가 독일군의 암호 해독을 위해 세운 연구소에서 수학 방정식을 이용해 암호를 해독하는 장치인 ‘봄브’를 개발해 연합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공을 세웠습니다. 또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에 대한 개념을 제시했죠. 하지만 41세의 나이에 ... ...
-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아기 얼굴 만드는 비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2001년 폴 비올라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와 마이클 존스 미쓰비시전기연구소 연구원이 만든 방법으로, 얼굴에서 특정 부위와 주변 영역의 밝기 차이를 이용해 얼굴의 구성 요소를 찾아냅니다. 예를 들어 눈 주위는 대부분 움푹 들어가 있어 눈의 위아래 영역보다 어둡고, 툭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