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지금 이곳은 한겨울, 남극풍경과학동아 l2019년 08호
- “7월 8일 현재 이곳은 영하 35도입니다. 3개월째 해가 뜨지 않는 극야가 지속되고 있습니다.”서울에서 1만2740km 떨어진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에 ... 주. 이번 호에 소개하는 작품은 ‘제9회 극지사진 콘테스트’ 수상작이다. 수상작 11편은 극지연구소 홈페이지(www.kopri.re.kr)에서도 볼 수 있다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자료 처리 분야 전문가로 성장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손 교수는 “UST는 국가 연구소를 캠퍼스로 두고 있는 만큼 각 분야에서 연구의 최전선을 경험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며 “이 과정에서 지도교수와 학생은 함께 성장하면서 믿고 의지하는 동료 과학자가 된다”고 강조했다 ...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결정했다.부르키나파소에서 GM 모기 연구를 이끌고 있는 압둘라예 디아바테 보건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최장 1년 동안 모기 개체수와 생태계 변화를 살펴 볼 것”이라고 말했다. 타깃 말라리아는 현재 말리와 우간다에서도 GM 모기를 방사하는 계획을 검토 중이다. ● 타깃 말라리아의 GM 모기 ... ...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나빴던 것은 아니다. 오스트리아 그라츠공대를 나온 테슬라는 1884년 6월 미국 에디슨연구소 연구원으로 뽑혀 유럽에서 미국으로 건너왔고, 이때 에디슨을 처음 만났다. 실제로 테슬라가 1919년 집필한 자서전에는 에디슨과의 첫 만남에 대해 “좋은 집안에서 태어나지도, 과학 교육을 받지도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하지만 이것을 모두가 가치 있는 실패로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다. 발사장에서 철수해 연구소로 돌아와 보니 과학기술처(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전신)에서는 이미 조사계획을 수립한 상태였다. 곧이어 조사단이 들이닥쳤다. 비전문가들로 구성된 조사단이, 게다가 로켓 시스템을 한 번도 ... ...
- 왜 포항에서 지열발전을 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전세계 지열발전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지요.하지만 1970년대, 미국 로스 알라모스 국립연구소가 화산지대가 아닌 곳에서도 지열발전을 할 수 있는 ‘인공지열 저류층 생성 기술(EGS)’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어요. 그 결과 화산지대가 아닌 곳에서도 지열발전을 활용할 길이 열렸지요. 이 기술 ... ...
- 국내 최대 개미왕국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안녕? 나는 안양에 사는 왕개미야. 내가 왜 나왔냐고?혹시 지난 2015년 안양에서 거대한 왕개미 왕국이 발견됐다는 뉴스를 본 적 있니? 그동안 이 지역을 ‘보존한다’,‘개발한다’를 두고 말이 많았어. 그런데 이제 곧 안양시가 우리가 사는 곳을 개발한다고 해. 그래서 걱정이란다. 우리 이야기 ... ...
- [GO!GO!고고학자]난파선은 어떤 비밀을 품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기술과 장비가 부족해 해군 잠수사의 도움을 빌려야 했지만, 지금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아시아 최대의 수중문화재 발굴선 ‘누리안호’가 있어서 걱정이 없답니다. 2012년에 취항한 누리안호에는 20여 명의 조사원이 20일간 체류하면서 수중 발굴조사를 할 수 있어요. 바다 밑바닥에 가라앉은 ... ...
- [프리미엄리포트] 韓,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간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정밀도와 탐사 효율이 비교적 높다. 해미래 개발을 이끌었던 이판묵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케이블로 연결돼 작동하는 해미래는 움직임에 제약이 있다”며 “로봇 기술이 많이 발달했지만 아직은 사람이 직접 탐사하는 것에 비하면 부족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현재 6000m급 무인 ...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시작됐지만,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난 건 2018년이다. 스콧 오닐 호주 모나시대 매개질병연구소 교수팀은 2011년부터 호주의 열대 항구 도시 타운즈빌에서 볼바키아에 감염된 이집트숲모기를 방사했다. 약 19만 명이 살고 있는 이 도시에서는 앞선 7년 동안 이집트숲모기에 의해 뎅기열 환자가 54명이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