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말"(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새 학년이 됐는데, 친한 친구 둘이 모두 떠났어. 한 명은 전학 가고, 한 명은 다른 반이 됐지. 코봇이나 찌빠 같은 로봇 친구가 있다면 떠나지 않고 항상 내 곁에서 도와 주고, 나쁜 애들도 혼내 주는 친구가 될 텐데. 그런 로봇을 만들 수 없을까? 그래, 나누리 박사에게 부탁해 보자.“나누리 박사님 ...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화합물 IRT5를 이루는 미생물 5종은 모두 사람의 대변에서 분리한 유산균입니다. 다른 유산균이나 이들을 단독으로 쓸 때보다 5종을 조합할 경우 면역조절능력이 가장 탁월했습니다.”지난 4월 13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대한면역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 면역학자인 광주과기원(GIST) 생명 ...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지금으로부터 107년 전인 1905년, 우리나라가 일제의 침략 앞에 위태로울 때 세계 물리학은 빛, 공간, 시간, 물질, 에너지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천재적 업적(특수상대성이론)으로 패러다임 변혁이 일어나고 있었다. 1920년대에 이르러 양자역학이 등장해 고전 물리학과 선을 긋고 세계는 현대 물리학으 ... ...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안산에 사는 주부 이은희씨(47)는 최근 로봇청소기를 한 대 장만했다. 자주 찾지 못하는 친정집에 선물하기 위해서다. 이 씨는 “로봇청소기의 청소효과가 예전보다 많이 좋아졌다는 말을 들어 몸이 안 좋은 부모님 집에 설치해 드렸다”며 “어머니도 로봇청소기 덕분에 집안일에 신경을 덜 쓰게 ... ...
- 종합수학선물세트, 수학 다큐멘터리의 세계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지난 3월 19일, EBS 다큐멘터리 ‘문명과 수학’이 SBS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를 제치고, 2012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시상식에서 대통령상인 대상을 수상했다. 대체 어떤 내용을 담았기에 최고의 프로그램으로 선정된 걸까? 또 어떻게 만들었을까? ‘문명과 수학’을 제작한 김형준 PD를 만나 알 ... ...
- 이야기 풍기는 봄꽃, 매화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아직은 바람이 매섭지? 하지만 곧 따스한 햇살에 누그러질 거야. 게다가 남쪽에서 싱그러운 봄꽃 소식이 들려오기 시작하면 추위도 서둘러 사라질 거라고. 향긋한 봄꽃 냄새가 마음까지 따뜻하게 해 줄 것 같아. 꽃은 햇살만큼 봄을 따뜻하게 느끼게 하니까. 그런데 꼬마김밥이 봄꽃 중 하나인 매화 ...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작년 울산의 여러 산업체를 견학하고 돌아온 고등학생 아들에게 가장 인상적인 것이 뭐냐고 물었다. 아들은 주저없이 현대중공업에서 본 대형 선박을 꼽았다. 선박이 그렇게 큰 물체인지 몰랐다는 것이다.현재의 선박들, 특히 대형 상선들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 최근 들어 선박은 더욱 더 ... ...
- 기량 차 줄어드니 4할 타자 사라져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지난 3월 프로야구에서 은퇴한 이종범 선수는 1994년, 타율 3할 9푼 3리를 기록해 4할에 근접했다. 하지만 4할은 넘지 못했다.] 야구에서 4할을 친다는 것은 전설적인 선수가 된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 야구의 본가라고 하는 미국에서도 1941년 이후 4할 대 타자는 사라졌다. 우리나라는 프로야구 출범 ...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해저도시요? 만들 수는 있겠지만 누가 바다 속에서 살려고 할까요? 현실성이 없습니다.”“사람은 햇빛 없이 살기 힘듭니다. 햇빛이 들지 않는 바다 속에서 산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됩니다. 어떤 나라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만들려고 할까요?”기자가 해저도시에 대해 물어봤더니 해양 과학자들 ...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내 장유형은 뭘까?’지난해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장유형(enterotype)에 대한 논문이 나간 뒤 언론이 크게 다루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어떤 장유형인지 궁금해했다. 저마다 정해진 혈액형이 있듯이 장에 거주하고 있는 미생물의 분포에 따라 장유형이 있다는 사실을 독일을 비롯한 다국적연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