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의심
물음
의혹
문제
질의
앙케트
d라이브러리
"
의문
"(으)로 총 1,564건 검색되었습니다.
(1) 대중화 단계에 접어든 컬러 컴퓨터 그래픽의 진수를 맛본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글자들이 날아다니고 로봇이 움직이는 화면을 보면서 저것이 어떻게 제작되었을까 하는
의문
이 드는 것은 당연하다.컴퓨터그래픽에 대해 조금 이해가 있다면 그것이 모두 컴퓨터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이라고 짐작할 것이다. 이처럼 컴퓨터를 일상생활에 이용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 ...
청동기인의「돌달력」 스톤헨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되는 무거운 돌들을 그것도 수십개를 어떻게 그 먼 곳으로부터 운반해 왔을까. 이것도 큰
의문
이 아닐 수 없다. 그때 무슨 중장비가 있었던 것도 아니었으니까 순전히 사람의 힘으로 끌고 밀어서 운반했음이 틀림없는 일이다.왜 이런 건물을 세웠을까. 스톤헨지의 목적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추측이 ... ...
리우 민간환경단체 '92 지구포럼'현지 취재 "시민의 힘만이 지구를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정상회담은 각국의 이해관계가 걸려있어 회의 결과가 진정으로 지구환경에 도움이 될지
의문
시된다는 것이 초기의 NGO들의 생각이었다.사실 UNCED든 글로벌포럼이든 주요쟁점은 '지구환경문제'이전에 개도국과 선진국간의 이해대립이었다. 이미 초안이 합의된 상태에서 진행된 기후변화협약,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하나로 물을 찾는 사랄들은 평균적인 자기감지능력이상의 기능을 가진 것이 아닌가하는
의문
을 던져 볼 수 있다.그러나 여러차례 조심스럽게 실험을 했지만 자철광이 그런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 작은 자석들을 통해 인간이 어떤 감각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증거는 ... ...
생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것으로 알려져 있다(기백신도 마찬가지). 그렇다면 왜 하필 메탄올을 사용했을까 하는
의문
이 생긴다. 제약업체 관계자들은 메탄올로 코팅하면 약의 표면이 더 유려해지고, 메탄올이 에탄올보다 더 쉽게 날아가기 때문에(비등점이 낮아서) 메탄올을 선택했을 것으로 예측하기도 한다(코팅한 후에도 ... ...
'보다 크게 보다 작게'가 만드는 신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어려서부터 무엇이든 소홀히 보아 넘기지 않는 사람이었다. 세상의 모든 것이 그에게는
의문
투성이였다.그가 청년이던 1950년에 일본에는 태엽의 힘으로 프로펠러를 움직여 빙글빙글 도는 비행기 완구가 나왔다. 당시는 한국에서 전쟁이 발발해 일본기지를 떠난 미국 비행기가 매일같이 상공을 날고 ... ...
(4) 홈 스튜디오가 현실로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지원하고, 연결해 사용할 경우 5백12채널까지 쓸 수 있다.이처럼 많은 채널이 왜 필요한가
의문
을 느낄 지도 모르지만, 아날로그 악기를 전자적으로 재현할 때는 음색 하나를 하나의 채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실제 고급 기타나 신서사이저의 경우는 6채널을 지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 ...
(1) 효능 입증안된 것이 대부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어떤 좋은 기능을 보인다고 할지라도 그것이 과연 피부 안으로 들어갈 수 있을까에 대해
의문
을 표시한다. 피부의 본기능이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우리 몸을 방어하는 것인데, 따지고 보면 화장품의 자연성분도 피부에게는 분명한 이물질이라는 것이다. 또 아무리 화장품의 입자를 작게 만든다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두가닥의 실과 같이 꼬여서 나감을 보았다. 어떤 요소가 더 선도적인가는 보다 근본적인
의문
이다. 베비지의 미분기관에서 보여지듯이 과학적 원리의 발견이 곧바로 가시적인 결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그 안에는 상당히 정치적인 부분도 있고, 그 시대 대중들의 심성에 일정 정도 부합해야 하는 ... ...
단백질의 위력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약간의 자만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판명됐다. 아직도 세포단백질에 관해 해결되지 않은
의문
들은 과학자들을 바쁘게 만들고 있는데 이는 단백질이 스스로 접히거나 줄기모양이 되거나 잘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려면 단백질은 무엇인가로부터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여기서는 '접힌다'는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