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의심
물음
의혹
문제
질의
앙케트
d라이브러리
"
의문
"(으)로 총 1,5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똑같지가 않다. 그러나 항상 정육각형의 대칭모양으로 이뤄져 있다. 왜 그럴까. 바로 이
의문
을 풀기 위해 케플러는 결정구조에 대한 연구에 착수했다. 그럼으로써 물리학자들이 원자론을 펴기 시작한 때보다 3세기나 앞서서 결정구조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다. 그는 그 결과를 1611년에 발표했는데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가르쳐야 할 부분이 꼭 어려운 과학용어를 포함해야만 가르칠 수 있는 것인가. 여러가지
의문
점이 생기지만 여기서는 이러한 과학용어가 제대로 잘 사용되었는지에 관해서만 이야기해 보기로 한다.먼저 이런 과학용어가 교과서에 사용되는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학생들은 과학을 더 딱딱하고 ... ...
(4) 한글언어개발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좋은 언어들이 많은데 한글언어가 필요없다는 의견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이러한
의문
은 실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사람들, 더 나아가 컴퓨터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일수록 더 많이 가진다는 것이다. 영어중심의 좋은 프로그래밍언어들이 있고, 자신들은 영어를 잘 알아서 별 불편없이 ... ...
싹트기 시작한 천문학 연구에 찬바람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과학에 대한 관심은 지구밖 세계를 동경하면서 펼쳐지는 상상의 나래와 이에대한 끝없는
의문
에서 출발한다. 지난해 천체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이 방한했을 때 부모 손을 잡고 강연을 듣기 위해 구름같이 몰려들었던 '미래의 천문학자'들이 이를 단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이를의 우주론에 대한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부른다. 보이지 않는 물질이 팽창을 멈추기에 충분하든 하지 않든 간에 팽창은 아직도
의문
점으로 남아있다. 대폭발 특이점궁극적으로 재폭발한 프리드만의 우주 모델에서 공간은 아인슈타인의 정지우주모델에서와 마찬가지로 유한하나 구속돼 있지 않다. 두개의 프리드만 모델에서의 공간은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원래 죽도가 해침(海沈)으로 본 섬에서 떨어져 나간 것이니까요.유제우 5기 분출에
의문
점이 있는데요. 만약 알봉이 폭발화구라면 그 정상에 화구가 있어야 하지 않습니까.권영심 알봉의 생성은 마지막 폭발 이후에 있었던 것이 아닐까요. 그러니까 대규모의 폭발 이후 마그마 체임버(magma chamber)가 ... ...
세계 기후모형 다시 제작해야 식물성 플랑크톤이 해수 온도를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플랑크톤이 과연 기후변화를 초래할 수 있을만큼 물위의 공기를 데울 수 있느냐는
의문
이었다.그 궁금증을 풀기 위해 사티엔드라나스 연구팀은 인도 서쪽에 위치한 아라비아해를 탐사했다. 그곳은 계절에 따라 식물성 플랑크톤의 수가 달라져 실험을 하기에는 안성맞춤인 적지였다.연구원들은 ... ...
1. 트랜지스터 1백만개 이상 집적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속도를 가진 것이 등장하여 더욱 높은 성능의 PC(그때쯤이면 PC라는 용어가 적합할지도
의문
이지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와같은 추세를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 ...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따라서 그 공군기지는 이전할 수밖에 없었으며 과연 그곳이 다시 활용될는지에 대해서도
의문
이 제기되고 있다.그 폭발에 의한 화산암편들은 15마일 이상을 날아갔는데 화산학자들은 피나투보 화산의 분화작용이 증가하리라고 믿고 있다. 어쩌면 앞으로도 수개월 혹은 수년동안을 계속할는지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해저의 생물 지질학적 여건으로 보아 4백년 이상 목선을 보존할 수 있는 환경인가 하는
의문
도 제기되고 있다.침몰 여부 외에도 거북선이 철갑선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 건조 척수, 이순신 장군의 전술 등 아직도 학술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채 거북선에 대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 발간된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