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밀도와 휘는 정도, 꺾이거나 끊어지는 한계를 측정해 가상의 털을 만든다. 당연히 길이 조절은 자유자재다. 털의 경우 길이를 다양하게 만들기 위해서 길이 값에 무작위 오차를 주기도 한다. 여기까지는 최대한 진짜 같은 털을 만드는 작업이다. 때로는 진짜처럼 보이기 위해 오히려 가짜 털, 또는 ... ...
- 신기한 세계, 박막 및 미세조직공학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부릅니다. 단위 구조의 모양, 크기, 분포에 따라 재료의 성질이 달라지므로 미세조직을 조절해 우리가 원하는 성질을 갖는 재료를 만들 수가 있습니다.박막은 TV, LED 조명, 휴대전화 등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부품을 구성하는 단위로 많이 사용합니다. 특히 반도체 ... ...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1만K이다.촬영감독은 이 색온도를 기준으로 시간에 따른 조명과 촬영할 색을 적절히 조절한다. 텅스텐 조명은 3200K, 촛불 2200K 등 이미 여러 광원이나 조명에 대한 색온도가 정해져 있어, 영상을 만드는 사람이 쉽게 색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어둑어둑한 저녁을 만들고 싶으면 조명을 2200K으로 ...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32%의 영향을 설명할 수 있게 됐지만 아직 베일에 쌓인 부분이 훨씬 많기 때문이다.환경만 조절하면 15cm 더 클 수 있다먼저 짚고 넘어갈 게 있다. ‘내 아이 예상키 공식’은 믿을 수 있을까.“남아면 아버지 어머니 평균 키에 6.5cm를 더하고, 여아면 6.5를 빼시오.”박광원 고려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있어요. 건물에 햇볕이 얼마나 들어오느냐에 따라 자동으로 열렸다 닫히면서 온도를 조절한답니다. 손톱으로 소리 듣는 마술사실로폰을 닮은 달팽이관 속 음판을 흉내 내면 개미가 기어가는 소리까지 들을 수 있을 만큼 예민한 전자 귀를 만들 수 있어요. 달팽이관으로들어간 소리가 전기신호로 ... ...
- [수학실험실] 기하 문제를 푸는 만능열쇠 갈릴레오 컴퍼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갈릴레이는 먼저 금속자 두 개를 연결했다. 두 자를 다리 삼아 원하는 대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일종의 각도기인 ‘쿼드란트’도 두 다리에 연결했다. 장비 하나로 길이뿐만 아니라 각도도 잴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두 자에는 일곱 종류의 눈금을 표시해 다양하게 활용할 수 ... ...
- [체험] 차세대 통신망 연구실 미래 통신은 수학으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그 방법을 찾는 것이죠. 이것을 통신에도 적용하면 데이터가 한곳으로 몰리지 않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답니다.줄을 서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큐잉이론!큐잉이론은 정보통신 연구에만 쓰일까? 큐잉이론에 대해 설명을 들은 독자기자들은 큐잉이론이 정보 통신 분야 외에도 어떻게 쓰이는지 교수님께 ... ...
- 한국형 달탐사선 베일을 벗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컴퓨터로 구현한 달 상황과 비교하면서 달 탐사선 시험모델의 추력 방향과 힘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이었다.연구팀은 이 실험에서 자체 제작한 달 탐사선 시험모델에 20kg의 힘을 내는 소형 로켓 5개를 설치했다. 여기에 500g의 힘을 내는 자세제어용 추력기, 밸브제어장치, 착륙제어 컴퓨터 등을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예측이 가능하다.그런데 물방울이 떨어지는 속도가 조금 더 빨라지도록 수도꼭지를 조절하면 이 리듬이 바뀐다. ‘똑-똑’이라는 2개의 새로운 물방울 패턴이 반복된다. 여기서 물방울을 조금 더 빨리 떨어지게 하면, 이번엔 4개의 물방울로 이뤄진 ‘똑-똑-똑-똑’이란 새로운 패턴이 만들어진다. ... ...
- ‘킬 빌’ 닮은 말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빈 껍데기만 남은 숙주를 뚫고 나온다. 다른 곤충에 기생하지만 이를 통해 곤충 개체수를 조절하는 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기생충보다는 포식기생자라고 부른다.태국에서 발견된 기생말벌에는 재미난 학명이 붙었다. 사이토마스타코이데스 키도(Cystomastacoides kiddo)다. 키케 교수는 종명에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